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와 무역 및 산업협력 확대 기대’

  • 등록일2021-07-19
  • 조회수1723
  • 발간일
    2021-07-16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 이후#아프리카 무역#산업협력
  • 첨부파일
    • hwp 0716(17조간)중동아프리카통상과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와 무역 ... (다운로드 6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 이후 아프리카와 무역 및 산업협력 확대 기대’

- 박진규 산업부 차관, 케냐 산업통상기업개발부 장관과 회담-

  

□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7.16(금), 2021 서울 커피 엑스포* 주빈으로 참가하기 위해 방한한 케냐 산업통상기업개발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양국 무역·투자 확대와 산업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함
 
   * 2021 서울커피 엑스포(금년 250개사, 800부스 전망, 7.13~17) 한국커피연합회와 코엑스가 올해의 주빈국(금년 케냐) 프로그램 운용 등 2012년 부터 매년(‘20년 제외) 개최
 
□ 박 차관은 동아프리카 거점국가로서 케냐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아프리카자유무역지대(AfCFTA)**의 출범으로 케냐와의 소비재, 의료·보건 등 다양한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케냐 경제성장률(%) 추이 및 전망(WB) :  (‘16)5.9→(’17)4.8→(‘18)6.3→(’19)5.4→(‘20)-0.3→(‘21E)4.5
    ** 아프리카자유무역지대(AfCFTA, 19.5월 출범) : 아프리카 연합(AU) 55개국 중 54개국이 가입 서명, 역내 관세 90% 철폐시 역내 교역 160억불 증가 전망(IMF)
 
 ㅇ 박 차관은 한국은 세계무역기구(WTO) 등 다자무역체제하에 자유무역을 통해 성공적으로 발전한 경험을 갖고 있는 만큼, 경험 공유 등을 통해 케냐 경제발전전략 Vision 2030*의 실현을 위해 협력해 나아가겠다고 함
 
   * 케냐 Vision 2030 : 2030년까지 연평균 10% 경제성장 및 중진국 진입을 위해 Big 4 아젠다(’18~22) 추진 △제조업 활성화, △안정적 식량공급, △의료·보건 향상 △서민 주택보급
 
□ 이에 마이나 장관은 이번 방한으로 양국간 산업 및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평가하고, 특히 커피 등 우수한 케냐 농산품의 한국 수출확대를 위한 우리측의 관심을 요청하였으며
 
 ㅇ 이에 박차관은 한국은 케냐와의 아프리카와 상호보완적 경제협력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을 제안하고, 공적개발원조(ODA) 및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활용한 양국간 무역과 산업협력 등이 더욱 확대되도록 노력해나가자고 제안함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