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OECD 보건통계로 보는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 등록일2021-07-21
  • 조회수2002
  • 발간일
    2021-07-19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 보건통계#OECD
  • 첨부파일
    • hwp [7.20.화._조간]_OECD_보건통계로_보는_우리나라의_보건의료.hw... (다운로드 10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OECD 보건통계로 보는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 국민 건강수준 및 보건의료 이용수준 높고, 보건의료 인력규모 낮다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지난 7월 2일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의 주요 지표별 우리나라 및 각 국가의 수준·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 OECD 보건통계는 건강 수준, 건강 위험요인, 보건의료자원, 보건의료이용, 장기요양 등 보건의료 전반의 통계를 담은 데이터베이스(DB) http://oecd.org/health/health-data.htm
  
□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기대수명)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3년으로 OECD 국가(평균 81.0년) 중 상위권에 속하였다.
 
 ㅇ (회피가능사망률) 우리나라 회피가능사망률(Avoidable mortality)은  인구 10만 명 당 144.0명(‘18년 기준)으로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OECD 평균: 199.7명 (예방가능사망률 126.9명 + 치료가능사망률 72.8명)
 
 ㅇ (흡연 및 주류 소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의 흡연율(16.4%)과 1인당 연간 주류 소비량(8.3ℓ)은 OECD 평균* 수준이다.
 
     * OECD 평균: 흡연율은 16.4%, 주류 소비량은 8.8ℓ
 
 ㅇ (비만)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33.7%, 15세 이상)은 OECD 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 OECD 평균: 59.9% (남자 63.9%, 여자 56.0%)
 
 ㅇ (보건의료 인력) 임상의사(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5명으로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속하였고, 간호 인력은 1,000명당 7.9명으로 OECD 평균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 OECD 평균: 인구 1,000명당 임상의사는 3.6명, 간호 인력은 9.4명 수준
 
 ㅇ (보건의료 자원) 자기공명영상장치(MRI)와 컴퓨터단층촬영(CT) 등 물적 자원의 보유 수준은 OECD 평균보다 높은 편이며, 병원의 병상은 인구 1,000명당 12.4개로 OECD 평균(4.4개)의 2.8배를 상회하였다.
 
 ㅇ (보건의료 이용) 우리나라의 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연간 17.2회)는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았다.
 
     * OECD 평균: 국민 1인당 연간 평균 6.8회
 
 ㅇ (경상의료비) 경상의료비는 국내총생산 대비 8.2%로 OECD 평균(8.8%)보다 낮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ㅇ (의약품 판매)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690.9 US$ PPP*로 OECD 평균(532.9 US$ PPP)보다 높았다.
 
 * 각 국의 물가수준을 반영한 구매력평가환율(PPP: Purchasing Power Parity)
 
 ㅇ (장기요양)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65세 중 9.6%)은 OECD 평균(12.0%)보다 낮지만, 고령화, 노인장기요양제도 강화 등으로 지난 10년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 2009년 3.2% → 2014년 7.0% → 2019년 9.6%


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