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20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전년대비 4.1% 증가

  • 등록일2021-07-29
  • 조회수2011
  • 발간일
    2021-07-29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식품산업#생산실적#증가
  • 첨부파일


2020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전년대비 4.1% 증가

▪ 건강기능식품 16.3% 성장…식육제품·햄류·시리얼·유탕면 등 증가

▪ 코로나19·건강에 대한 관심·1인 가구 증가 등 사회변화상 반영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2020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전년(81조77억 원) 대비 4.1% 증가(84조 3,300여억 원)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 식품산업: 식품제조가공업(주류·조사처리 포함), 식품첨가물제조업, 용기·포장제조업, 축산물 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 (’18)78조 9,070억 원(5.1%↑)→(’19)81조 77억 원(2.7%↑)→(’20)84조 3,267억 원(4.1%↑)
 
 
 ○ 2020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대비 4.4%,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7.6%를 차지했습니다.
 
   * 2020년 국내 총생산(GDP) : 1,924조 192억 원(원계열, 명목)(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21.5)
 

1.png

 
○ 지난해에는 식품 관련 모든 업종이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 식품 등* 생산실적은 48조 3,987억 원으로 전년(47조 6,252억 원) 대비 1.6% 증가했고 전체 국내식품 생산실적의 57.4%를 차지했습니다.
 
    * 식품제조가공업(주류, 조사처리 포함), 식품첨가물제조업을 포함
 
 
   - 축산물* 생산실적은 27조 7,026억 원으로 전년(25조 5,502억 원) 대비 8.4% 증가했고 전체 국내 식품 생산실적의 32.9%를 차지했습니다.
 
    * 축산물 가공업(유가공, 알가공, 식육가공), 식육포장처리업을 포함
 
 
   - 용기·포장류 제조업 생산실적은 5조 9,612억 원으로 전년(5조 8,859억 원) 대비 1.3% 증가했고,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실적은 2조 2,642억 원으로 전년(1조 9,464억 원) 대비 16.3% 증가했습니다.
 

2.png

 
 
○ 지난해 우리나라 식품산업 시장은 코로나19와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변화에 따라 관련 제품 생산량이 증감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 주요 특징은 ▲[식품전반] 식육제품 여전한 강세, 햄류와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의 가파른 성장세 ▲[즉석섭취‧편의식품] 즉석섭취식품 생산 감소, 신선편의식품·즉석조리식품은 증가 ▲[건강기능식품] 전년 대비 16.3% 증가, 홍삼제품 강세 지속 ▲[업체] 생산실적 1조원 이상 5개사, 상위 순위 변동 등이었습니다.
 
 
■ [식품전반] 식육제품 여전한 강세, 햄류와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의 가파른 성장세
 
 
 ○ 지난해 식품별 생산실적 상위 3개 품목은 돼지고기 포장육 7조 2,344억 원(전체의 9.2%), 쇠고기 포장육 5조 4,585억 원(전체의 7.0%), 양념육류 3조 6,999억 원(전체의 4.7%) 순으로 국내 식품 생산에서 최근 3년간 식육제품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축산물 생산실적*은 2020년 27조7,000억 원으로 전년(25조 6,000억 원)에 비해 8.4% 증가했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집밥 수요가 증가하고 다소비 식품인 돼지고기 판매가격이 올라** 포장육(돼지) 생산액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 축산물 생산실적: (’18) 25.1조(↑1.5%)→(’19) 25.6조(↑1.8%)→(’20) 27.7조(↑8.4%)
 
   ** 통계청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 비육돈(돼지고기) 한마리당 순이익 4.7천원 (전년대비 640%↑)
 
 
 ○ 햄류의 2020년 생산실적은 1조 1,074억원으로 전년(8,051억 원) 대비 37.6%,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류는 32.8%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 코로나19로 인한 사적모임 제한으로 가족‧친지간 대면 모임 대신, 명절 선물세트로 인기가 높은 햄류를 주고받은 것이 판매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시리얼류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16.5%, 유탕면(봉지라면, 용기면)은 11.0% 증가했는데, 이는 1인 가구 증가와 외식 자제에 따른 식사대용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보입니다.
 
 - 햄류 : (’19) 0.8조 → (’20) 1.1조(전년 대비 37.6↑)
 
 -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류 : (’19) 0.3조 → (’20) 0.4조(전년 대비 32.8↑)
 
 - 시리얼류 : (’19) 0.11조 → (’20) 0.13조(전년 대비 16.5↑)
 
 - 유탕면 : (’19) 2조 → (’20) 2.2조(전년 대비 11.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