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 수립방향 마련
- 등록일2021-08-19
- 조회수2104
-
발간일
2021-08-1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기본계획
- 첨부파일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 수립방향 마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사회 현안을 해결하는과학기술 혁신정책의 추진방향 제시 -
< 분야별 현황분석 및 미래예측 >
구 분 |
현황 분석 |
미래 예측 |
기 술 |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심화 |
우방국 중심 기술블록화, 기술규제 확대 |
경 제 |
세계시장 지역화, 산업‧일자리 격변 |
국가 간 격차 확대, 양극화 심화 |
사 회 |
인구절벽시대 진입, 비대면생활 일상화 |
지역소멸 현실화, 사회적 갈등 확대 |
환경‧안보 |
탄소중립 노력, 위기의 일상화 |
환경보전‧위기대응을 위한 범세계적 노력 |
< 최근의 주요국 정책동향 >
ㅇ(미국) 전략기술‧기후변화 관련 투자확대, Endless FrontierAct제정 ㅇ(중국)8대 전략산업‧7대 전략기술 설정,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적 노력 ㅇ(EU)연구와 혁신(R&I)을 위한 955억유로 R&D 투자, 6개 전략기술분야 자립화 추진 ㅇ(일본)과학기술로 국가가 직면한 현안을 해결하는혁신정책의 법적근거‧추진체계 정립 |
< 혁신정책과 기존 과기정책의 비교 (예시) >
구 분 |
기존 과학기술정책 |
과학기술 혁신정책 |
정책방향 |
과학기술 진흥‧발전 중심 |
국가‧사회 현안해결 중심 |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지역의 R&D 역량강화 |
지역소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과학기술 기반 지역자생력 강화 |
|
성과목표 |
양적 투입‧산출 중심 |
정책의 질적 효과 중심 |
기초연구 투자규모 2배 확대 |
R&D 투자 1억원 당 GDP 10억원 증가효과 창출 |
|
정책범위 |
R&D 위주 정책수단 |
R&D‧비R&D를 포괄 |
이공계 교육, 연구인력 지원 |
이공계교육, 연구인력 지원 + 외국인 비자, 대학운영 혁신,신규채용 조세특례 등 |
< (참고) 국가과학기술혁신체계(NIS 2.0) 개념도(’18.7. 국가R&D 혁신방안)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