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보고서 발간

  • 등록일2021-09-13
  • 조회수2237
  • 발간일
    2021-09-1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탄소중립#과기부#개발방향보고서
  • 첨부파일
    • hwp 210913+조간+(보도)+탄소중립+10대+핵심기술+개발방향+보고서+발... (다운로드 12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기정통부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보고서 발간

2050 탄소중립을 실제적으로 견인해 나갈 수 있는10대 핵심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방향 제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21.3)」 내 10대 핵심기술의 세부 개발 방향 및 기술개발 전략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보고서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함께 발간하였다.
 
 ㅇ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 ‘2050 탄소중립’을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해 3월 발표한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내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에 대해 2050년까지의 구체적인 기술별 목표 및 중점기술 개발 방향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있으며,
   * ① 태양광‧풍력, ② 수소, ③ 바이오에너지, ④ 철강‧시멘트, ⑤ 석유화학, ⑥ 산업공정 고도화, ⑦수송효율, ⑧건물효율, ⑨디지털화, ⑩CCUS
 
 ㅇ 이 과정에서 각 부처가 추천한 산‧학‧연 전문가 88명이 참여하여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별로 현황과 이슈를 분석하고, 현장의 수요를 최대한 반영한 기술개발 방향성 및 정책·제도적 지원방향을 도출하였다. 
 
□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은 총괄, 에너지 전환(태양광, 풍력, 수소, 바이오에너지), 산업 저탄소화(철강‧시멘트, 석유화학, 산업공정 고도화, CCUS), 에너지 효율(수송효율, 건물효율, 디지털화)로 구성되어 있다.
 
 ㅇ [총괄] 탄소중립 기술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탄소중립 선언 배경 및 국내외 정책‧시장‧산업 현황을 제공하고,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의 추진배경과 10대 핵심기술의 주요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ㅇ [에너지 전환] 본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탈탄소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핵심기술인 태양광, 풍력, 수소,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국내외 현황, 핵심기술, 비전‧목표 및 세부기술별 추진전략을 담았다.
 
 ㅇ [산업 저탄소화] 본 보고서는 탄소집약적 구조를 가지는 국내 산업을 저탄소 산업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기술인 철강‧시멘트, 석유화학, 산업공정 고도화, CCUS 분야의 국내외 현황, 핵심기술, 비전‧목표 및 세부기술별 추진전략을 담았다.
 
 ㅇ [에너지 효율] 본 보고서는 수송효율, 건물효율, 디지털화 분야에서 고효율/친환경 에너지 기술 및 운영/관리 최적화 기술을 적용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거나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핵심기술의 국내외 현황, 핵심기술, 비전‧목표 및 세부기술별 추진전략을 담았다.
 
□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보고서를 발간하며 “탄소중립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전 지구적 과제이며, 정부는 탄소중립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10대 핵심기술 확보 가속화와 혁신생태계 조성에 지속적으로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으며,
 
 ㅇ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수립 민간위원장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종남 원장은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갖춘 혁신기술의 확보를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체계적인 기술개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은 탄소중립을 향한 기술개발의 탄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 발간된 보고서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2021년 9월 13일부터 온라인 누리집(www.ctpp.re.kr)에서 누구든지 전문을 내려받기 하여 열람할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