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소부장 경쟁력을 위한 뿌리산업 전환 청사진 마련 착수

  • 등록일2021-09-16
  • 조회수2266
  • 발간일
    2021-09-16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뿌리산업#뿌리법
  • 첨부파일
    • hwp 0915(16조간)뿌리산업팀 소부장 경쟁력을 위한 뿌리산업 전환 청... (다운로드 7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소부장 경쟁력을 위한 뿌리산업 전환 청사진 마련 착수
◇ 12월, 뿌리기술 범위를 소재다원화·지능화 중심 확장하는 「뿌리법」 시행 
◇ 산업부, 소부장 경쟁력의 핵심 기반인 뿌리산업의 전환 로드맵을 연내 마련하기 위한 「뿌리산업 전환 라운드테이블」 발족 
◇ ➊수요산업 대응 역량 제고, ➋가격 경쟁력 확보, ➌인력난 해결, ➍입지 개선, ➎뿌리산업 전환 지원체계 강화 등 중점 논의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금년 12월 뿌리기술 범위를 확장하는 「뿌리산업법」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연내 뿌리산업 전환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관련 전문가들로 「뿌리산업 전환 라운드테이블」을 구성하고, 9월 15일(수) 오후 2시, 국가청정생산센터에서 첫 회의를 개최하였음
 
ㅇ 동 라운드테이블은 정부,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법개정에 따른 뿌리기술의 범위 확장 내용을 업계에 공유하고,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소부장 경쟁력 핵심 기반인 뿌리산업 전환 관련 정책 수요를 발굴하고 논의하는 場으로 마련되었음
 
< 「뿌리산업 전환 라운드테이블」 회의 개요 >

▪ 일시/장소 : ‘21.9.15(수) 14:00~15:30 / 국가청정생산센터 18층 대회의실
 
▪ 참석자 :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뿌리분야 산·학·연 전문가 등 14명
 
▪ 주요내용
❶ (발제) 소부장 경쟁력 혁신을 위한 뿌리산업 전환 방향(안)(산업부)
❷ 정책 건의 및 제안, 참석자 토론
 
□ 금년 6월 개정(6.15일 공포)된 「뿌리산업법」은 주조, 금형 등 기존 금속소재 관련 6개 ‘기반 공정기술’에 소재다원화(금속→플라스틱, 세라믹 등)와 지능화를 위한 사출·프레스, 정밀가공, 로봇, 센서 등 ‘차세대 공정기술’을 추가, 뿌리기술 범위를 소재다원화·지능화 중심으로 확장한 것을 골자로 함
 
ㅇ 동 개정 사항은 금년 12월(12.16)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으로 뿌리산업의 전환을 추진하기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음
 
 
ㅇ 또한, 지난 7월 문승욱 장관은 뿌리업계 간담회를 통해 4차 산업혁명 등 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➊미래 선점 기술 확보, ➋안전 중심 디지털 전환, ➌우수인재 유입 촉진의 「뿌리산업 3大 혁신 방향」을 제시한 바 있음
 
□ 금일 회의에서는 이러한 뿌리기술의 범위 확장과 3大 혁신 방향 등을 고려하여 실무적으로 검토 중인 ‘소부장 경쟁력 혁신을 위한 뿌리산업 전환 방향(안)’이 발제(산업부) 되었으며,
 
ㅇ 기업, 학계, 연구계, 유관기관 전문가들과 ▲수요산업 대응 역량 제고, ▲가격 경쟁력 확보, ▲인력난 해결, ▲입지 개선, ▲뿌리산업 전환 지원체계 강화 등을 위한 정책 방안들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음
□ 회의를 주재한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금번 뿌리산업법 개정으로 뿌리기술의 범위가 대폭 확장됨에 따라, 이를 소부장 경쟁력 혁신을 위한 기회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ㅇ “오늘 첫 모임을 가진 뿌리산업 전환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여, 연내 뿌리산업 전환 로드맵을 신속히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힘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