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위해 2022년 5,265억 원 투입

  • 등록일2021-10-01
  • 조회수2015
  • 발간일
    2021-09-3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5,265억 원
  • 첨부파일
    • hwp 210930+14시+(보도)+코로나19+치료제·백신+등+개발+위해+2022년+... (다운로드 9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위해 2022년 5,265억 원 투입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제11차 회의 개최 (9.30) -

 


◼ 범정부 차원 백신 임상 3상 집중지원, 내년 상반기 상용화 목표
 ◼ 2023년 국산 전령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완료 목표 전령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 집중 지원
 ◼ 2022년 치료제·백신개발 3,210억 원, 연구·생산 기반 구축 1,063억 원, 방역물품·기기 고도화 302억 원, 기초연구 강화 690억 원 등 총 5,265억 원 예산(정부안) 편성
□ 정부는 9월 30일(목),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이하 ‘범정부지원위원회’) 제11차 회의를 열어 그동안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현황 및 향후계획 ▲ 국내 mRNA백신 개발 현황 및 지원계획, ▲ ‘22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예산(안) ▲국가 전임상시험 지원센터 운영계획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날 회의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공동위원장), 관계부처 및 국내 치료제‧백신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하였다.
 
 
1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현황 및 향후계획
 
 
□ 현재 국내에서는 8개 기업이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합성항원, DNA, RNA, 바이러스 전달체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임상 3상을 진행하는 등 기업들은 임상 3상에 단계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 각 기업별 국내 임상 추진 현황 >
 
□ 국산 치료제인 항체치료제가 지난 2월 5일 조건부 허가 이후, 지난 9월 17일 정식 품목허가가 이루어졌으며, 총 14개의 후보물질(신약개발 6개, 약물재창출 8개)에 대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 특히, 복용 편의성 등으로 인해 외래환자 및 생활치료센터 등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은 경구용 치료제에 대한 개발도 8개 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이 추진되고 있다. 
□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는 국산 백신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백신 임상 3상을 집중 지원하고,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경구용 치료제에 대한 개발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 및 지원할 계획이다. 
 
 ○ 먼저,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임상시험포털을 통해 임상시험 참여 의향을 밝힌 사람들에 대하여 신속하게 임상시험 실시기관과 연계 조치를 지속한다. 
 
 ○ 국내 예방접종 상황, 확진자 발생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해외 임상시험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현지 공관과 기업 간 지원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부와 신속하게 협력 등을 지원한다.
 
 ○ 또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비용 지원을 위해 2020~2022년 3년간 치료제 1,552억 원*, 백신 2,575억 원**으로 총 4,127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 (치료제) 2020년 450억, 2021년 627억, 2022년 475억
   ** (백신) 2020년 490억, 2021년 1,667억(본예산 687억+추경 980억), 2022년 418억
 
   - 올해 하반기에는 임상 3상 진입 및 후발 기업에 대한 임상비용 지원, 변이바이러스 대응 백신 개발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당해연도 예산으로 지원대상 기업 선정 후 남은 잔여 예산은 다음 연도로 이월하여 공모절차 거쳐 지원 예정 
 
 ○ 아울러, 국산 백신 개발이 완료된 경우 신속하게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개발 완료 전부터 선구매를 추진하여, 기업이 생산시설 등에 투자가 가능하도록 한다.
 
    - 국산 백신 선구매는 임상 2상 중간결과 발표 및 임상 3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전제로 비임상 및 임상 1·2상 자료를 토대로 면역원성, 안전성, 성공가능성, 접종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2 국내 mRNA백신 개발 현황 및 지원계획
 
 
□ 정부는 2023년까지 1개 이상 국내 생산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완료를 목표로 범부처가 협력하여 mRNA 백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 현재 국내에서는 2개 기업이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mRNA백신 원천기술 개발 및 비임상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 우선 범부처 차원의 mRNA 백신개발 지원을 위해 부처별 역할 분담에 따른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하였다.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산하 ‘mRNA 백신 전문위원회’ 제3차 회의(‘21.9.1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