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참깨·들깨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계화 기술 한자리에서 본다

  • 등록일2021-10-13
  • 조회수2091
  • 발간일
    2021-10-13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참깨·들깨 #기술#농업
  • 첨부파일
    • hwp 13-1_참깨들깨파종부터수확까지기계화기술한자리에서본다(지원국... (다운로드 7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참깨‧들깨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계화 기술 한자리에서 본다

- 농촌진흥청, 14일 전북 남원 운봉읍서 연시 -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14일 전북 남원시 운봉읍*에서 참깨‧들깨 생산을 위한 전 과정 기계화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 장소 : 남원시 운봉읍 준향리 816-2 (지리산처럼영농조합법인 재배포장)
 ○ 씨뿌림(파종), 모종심기(정식), 베기(예취), 낟알떨기(탈곡), 이물질 고르기(정선) 등 각각의 농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농기계 12기종을 현장에서 전시하고, 각 농기계를 활용한 농작업을 연시한다.
  - 참깨·들깨의 경우 흙갈이(경운), 땅고르기(정지), 비닐덮기(피복), 방제 등은 기계화율이 높으나 씨뿌림(파종), 모종심기(정식), 베기(예취), 낟알떨기(탈곡), 이물질 고르기(정선) 작업은 기계화율이 낮아 농촌진흥청은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전(全)과정 기계화 작업 체계를 정립하였다.
 
 ○ 참깨‧들깨 생산 시 전(全)과정에 기계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인력 의존도가 높은 기존 농작업과 비교하여 노동력 절감과 생산비용 절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참깨는 직파재배(종자를 밭에 바로 뿌려 재배하는 것) 시 약 67.0%, 정식재배(모종을 키워 밭에 심는 것) 시 약 56.4%의 노동력 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정식재배를 하는 들깨의 경우 약 58.4%로 분석됐다.
  - 또한 노동력 절감을 통해 참깨는 39.3∼49%, 들깨는 50.7%의 비용절감 효과가 이어질 수 있다.
 ○ 이날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참깨‧들깨 생산 기계화 적응품종 6종과 품종별 재배양식, 기계화 기술 등은 화판으로 소개한다.
  - 재배안정성이 높고 기계를 이용한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한 참깨 품종으로는 ‘건백’, ‘밀양72호’가 대표적이고, 들깨의 경우 ‘들샘’ 품종이 우수하다.
- 참깨‧들깨 생산 전(全)과정 기계화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기계화 작업에 적합한 농업환경을 갖추고 표준화된 재배양식에 맞춘 재배가 선행되어야 하며, 기존 재배방식과 비교하여 수확량, 생산비 등 차이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한편 농촌진흥청은 개발된 밭농업기계에 대해 현장 수요와 의견을 반영하여 개선‧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지난해 개발한 들깨 정선석발기의 경우, 정선 체를 추가하고 운전과 조작이 편리하도록 스위치 배치를 수정했으며, 이동이 쉽도록 바퀴를 교체하는 등 이용의 편이를 높여 선보였다.
 ○ 이와 함께 참깨, 고구마, 팥, 논 콩, 율무, 메밀 등 주요 밭작물의 생산 전(全) 과정 기계화 재배기술을 정리하여 책자(종이책, 전자책)로 제작하여 농촌진흥기관으로 배포하고 있다.
 
□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은 “밭작물 기계화 기술보급 촉진을 위해 새로 개발된 농기계의 현장실증 및 연시‧전시를 강화하고, 밭농업 기계 연구 강화를 위한 인력‧시설 등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참깨‧들깨를 생산하는 지리산처럼영농조합법인 장정은 대표는 “씨뿌림 과정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를 통해 밭작물 생산을 위한 최적의 작업 조합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