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 및 내성’ 조사 결과 발표

  • 등록일2021-10-22
  • 조회수2204
  • 발간일
    2021-10-22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축산#항생제#내성
  • 첨부파일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 및 내성’ 조사 결과 발표

- ’20년 항생제 판매량 ’19년과 유사…일부 판매량 늘어난 항생제는 내성률 증가 -

 

 

√ (가축) 항생제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의 항생제 내성률은 전반적으로 낮고 감소 추세, 돼지와 닭의 내성률은 항생제 판매량에 따라 차이 발생
√ (축산물) 소고기의 항생제 내성률은 전반적으로 낮았고,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일부 항생제 내성률은 증가하는 추세
√ 손 씻기와 충분히 익혀먹기 등 위생 수칙을 잘 지키면 항생제 내성균은 사멸 가능
√ 정부는 코덱스 항생제내성특별위원회 의장국으로서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에 대한 국제규범을 마련하는데 기여
√ 국내 축산현장에 맞는 항생제 적정 사용 모델 개발과 항생제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개선 노력 필요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2020년도 축산 분야 항생제 사용과 내성률에 대해 공동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를 담은 ‘2020년도 국가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동물, 축산물)’을 발간했습니다.
    * ①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내 가축 및 도축장 도체를 ② 식약처는 유통 축산물을 조사‧분석
 ○ 조사 결과 2020년 전체 항생제 판매량(추정치 736톤)은 2019년(745톤)과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 항생제 배합사료 첨가 금지(’11.7월) 후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감소한 일부 항생제의 내성률은 낮아진 반면 판매량이 늘어난 항생제의 경우 항생제 내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참고로 양 기관은 2013년부터 매년 ▲축산용 항생제 판매량(한국동물약품협회) ▲가축, 도체, 유통 축산물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 현황을 공동으로 파악하여 그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 항생제 내성률: 분리된 세균 중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의 비율
  - 항생제 내성균은 가축에 대한 항생제 오남용으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과 환경에 의해서도 직·간접적으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축산물의 가공·유통·조리 과정에서 손 씻기와 충분히 익혀먹기 등 위생 수칙을 잘 지키면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 2020년 가축에 사용하는 항생제의 총 판매량은 2019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판매량의 증감에 따라 가축·축산물의 항생제 내성률도 연동하는 추이를 보였습니다.
 ○ (가축) 축종별 항생제의 판매량은 돼지, 닭, 소의 순*이었으며 가축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률은 판매량이 비교적 적은 소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고 감소 추세인 반면, 돼지와 닭은 항생제 판매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 ’20년 축종별 항생제 판매량(톤) : (돼지) 501, (닭) 139, (소) 96
   - 살아있는 가축의 항생제 내성률은 판매량에 따라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판매량이 감소한 설파계(트리메소프림/설파메속사졸)와 테트라싸이클린의 내성률은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판매량이 증가한 제3세대 세팔로스포린계(세프티오퍼), 페니실린계(암피실린), 페니콜계(클로람페니콜)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은 증가했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