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22년 기초연구사업, 이렇게 달라집니다!
- 등록일2021-11-04
- 조회수1519
-
발간일
2021-11-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연구사업#공동 연구 지원#지원체계
- 첨부파일
2022년 기초연구사업, 이렇게 달라집니다!
- 과기정통부, 2022년 기초연구사업 전년대비 2,107억원 증가한 2조 14억원 지원 -
- ① 젊은 연구자 지원 확대, ② 학제 간 공동 연구 지원 강화, ③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전 분야 적용 ④ 연구자 중심 제도 개선 등 추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2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11월 5일 (금)에 공고 후 2022년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ㅇ 과기정통부는 2017년 이후 국정과제로 연구자가 자유롭게 연구비, 연구주제, 연구기간을 제안하는 자유공모형 기초연구사업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확대해왔으며,
- ’22년에는 개인연구 1조 6,283억원, 집단연구 3,730억원 등 교육부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포함해 ’17년 대비 2배 이상 확대된 2.55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2022년도 정부(안) 기준으로, 국회 예산 심의 이후 달라질 수 있음
< 연구자주도 기초연구사업 지원체계(과기정통부, 교육부) >
※ (과기정통부) 수월성 중심의 전주기적 우수 연구과제 지원 / (교육부) 인력양성 및 기반(인프라) 지원
□ 2022년도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의 주요 추진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젊은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안정적인 초기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
- 우선, 올해 처음 시작한 우수한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을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과 젊은 전임교원 대상인 ‘우수신진연구’ 사업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 또한,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신임 전임교원들은 연구경력이 짧아 경쟁형 과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고려하여,
- ➊ 생애첫연구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2023년에는 연구를 시작하고 싶은 신임전임교원의 대부분이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여 첫 연구에 대한 보편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을 보장하고,
* 생애첫연구 신규과제(안) : (’21년) 506개 → (’22년) 600개 → (’23년) 800개 (매년 이공분야 신임전임교원 약 750명)
- ➋ 평가 제도를 개선해 연구실적과 경력이 아닌 연구자의 연구의지와 연구계획의 창의‧도전성 중심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