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디지털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 성과발표회 개최

  • 등록일2021-12-08
  • 조회수1443
  • 발간일
    2021-12-08
  • 출처
    환경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환경영향평가#기술개발
  • 첨부파일
    • hwp 디지털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 성과발표회 개최(12.9)... (다운로드 6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디지털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 성과발표회 개최

- 기술개발사업(2020~2024년) 중간성과 점검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위해 12월 9일 성과발표회 개최 -



□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12월 9일 오후 이화여대 신공학관(서울 서대문구 소재)에서 ‘디지털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 성과발표회’를 개최한다.
 
□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뉴딜사업의 하나로 디지털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2020~2024년)을 추진해 왔다.
 ○ 이번 성과발표회는 그간 연구성과를 보고하고 환경영향평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폭넓은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온라인과 병행하여 진행된다.
   ※ 환경영향평가 관련 학회·전문가·대행업체, 정보통신업체 등 약 100여명 참여하되 발표자를 제외한 모든 인원은 온라인(유튜브)을 통해 참여
 
□ 첫 번째 순서로, 디지털 전환 분야 전문가인 김혜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의 초청강연을 통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분야의 발달로 전 세계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중요성을 들어본다.
   * 신한은행에서 데이터분야 상무를 역임하고 KT, 삼성전자, SK 등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연구
 
□ 이후, 기술개발사업을 분담하고 있는 5개 분과의 담당 연구진*이 디지털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의 목표·추진전략·기술개발 진행 상황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 ①데이터 표준화관리 및 예측(전성우 고려대 교수), ②의사결정 검토 지원모델 개발(이동근 서울대 교수), ③3차원 공간화 및 시뮬레이션(이병권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④예측모델링 및 생활환경 감시(신상희 가이아쓰리디 대표), ⑤자연환경 모니터링 및 예측·평가(최태묵 크리에이텍 대표)
 ○ 특히, 환경영향평가 매체별 데이터화, 의사결정 지원 체계(알고리즘), 시공간 시각화 기술을 융합하여 개발사업이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사업의 흐름을 설명하고,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을 디지털 공간에서 시연한다.
 
□ 성과발표 후에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학회·전문가·대행업체, 정보통신업체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하여, 당일 발표된 기술개발사업을 검증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실효성 있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할 예정이다.
 
□ 홍정섭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산·학·연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디지털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여, 앞으로 환경영향평가의 디지털 전환 및 서비스 고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