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비(非)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특허분석 온라인 설명회 개최

  • 등록일2021-12-21
  • 조회수1584
  • 발간일
    2021-12-21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mRNA#백신#글로벌#바이러스#벡터
  • 첨부파일
    • hwp [보도참고자료]_비(非)_메신저_리보핵산(mRNA)_백신_특허분석_온라... (다운로드 6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비(非)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특허분석 온라인 설명회 개최

- 백신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비(非)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특허 정보 분석·공유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특허청(청장 김용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은 국내 백신 기업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12월 21일(화)「비(非)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특허 분석 설명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非mRNA 백신 : mRNA 방식(화이자, 모더나 등 사용)이 아닌 백신으로, 바이러스 벡터, 합성항원, 자가증식 RNA(self amplifying RNA), DNA 방식을 모두 포함
     ** 온라인 생중계 주소 : https://youtu.be/C4rDIazGjY8
 
□ 정부는 케이(K)-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전담조직인 글로벌 백신허브화 추진단을 설치하여 범정부 추진체계를 마련하였다.
 ○ 특허청은 국내 백신 기술 자립화를 위한 맞춤형 특허 전략 지원, 특허 분석을 통한 핵심기술 발굴 및 특허 활용 지원, 국내 기업 기술 보호·분쟁 대응 지원 등을 통해 백신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 이번 설명회는 백신 개발에 힘쓰고 있는 연구자들과 기업이 기존의 비(非) 메신저 리보핵산(mRNA)(이하 非mRNA) 방식의 백신 플랫폼 특허를 손쉽게 파악하여 백신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거나 주요 특허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 특허청은 非mRNA 방식으로 글로벌 임상 중인 15종의 해외 백신에 대한 특허*를 분석하였고, 각 플랫폼 기술의 특징과 제약회사별 주요 보유 특허 현황, 코로나19 백신 생산공정별로 최근 공개된 특허와 원천 핵심 특허 분석 결과를 발표한다.
 
     * 바이러스 벡터(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등 4종), 합성항원(노바백스, 웨스트백 등 6종), 자가증식 RNA(엘릭서젠 테라퓨틱스 등 3종), DNA(이노비오 등 2종)  
 
□ 보건복지부 이강호 글로벌 백신허브화 추진단장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여 전 세계 코로나19 극복에 이바지하는 것은 물론 미래 신‧변종 감염병에도 대비하겠다.”라고 밝혔고,
 
□ 특허청 김지수 백신허브화 특허지원 TF팀장은 “오늘 설명회는 현재 백신을 개발 중이거나 개발 계획이 있는 기업과 연구기관에 非mRNA 백신 특허분석 정보를 공유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자리”라고 강조했다.
 
□ 한편, 보건산업진흥원 김용우 제약바이오산업단장은 “이번 설명회는 학계 및 연구기관, 기업 등 약 350여 명을 초청,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지난 7월 「코로나19 mRNA 백신 관련 특허분석 설명회」에 이어 시의적절한 정보 제공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