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초미세먼지 저감 정책효과, 정밀 관측자료로 확인
- 등록일2021-12-23
- 조회수1483
-
발간일
2021-12-23
-
출처
환경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초미세먼지#미세먼지#대기환경연구소#화석연료
- 첨부파일
초미세먼지 저감 정책효과, 정밀 관측자료로 확인
□ 노후경유차 조기 폐차, 선박연료유 기준 강화 등 정부의 초미세먼지(PM 2.5) 저감 정책이 ‘100㎚(나노미터*)’ 이하의 입자와 미량 금속성분 정밀 관측자료 등을 통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1나노미터는 1미터의 10억분의 1
□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동진)은 최근 ‘2020년도 초미세먼지 농도 및 배출변화 특성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 이번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 산하의 권역별 대기환경연구소(이하 연구소) 6곳*에서 수행한 것이다. 연구소는 초미세먼지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배출원 변화 특성, 생성 원인 등을 규명**하기 위해 2008년 12월부터 백령도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됐다.
* 백령도, 수도권(서울), 중부권(대전), 호남권(광주), 영남권(울산), 제주도
** 초미세먼지 질량농도 및 입자개수, 이온성분(황산염, 질산염 등), 탄소성분(유기탄소, 원소탄소), 미량 금속성분의 농도 측정을 통한 정밀 분석 가능
□ 이번 연구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4년 최고 수준 농도를 보인 이후 감소하여 2020년에 최저 수준 농도*를 보였다.
* 초미세먼지 농도(‘14→‘18→’20, ㎍/㎥) : 백령도(28.7→17.5→18.7), 수도권(37.3→23.3→21.6), 중부권(38.5→22.9→21.9), 호남권(33.1→22.8→21.3), 영남권(26.1→18.3→13.4), 제주도(19.7→11.2→8.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