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산업부, `22년 기계·장비·로봇 분야에 3,834억원 규모로 지원 확대
- 등록일2021-12-23
- 조회수1557
-
발간일
2021-12-23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기계#장비#로봇#제조업#디지털전환
- 첨부파일
산업부, `22년 기계·장비·로봇 분야에 3,834억원 규모로 지원 확대
- 연구개발 2,690억원, 기반구축 등 1,144억원 지원 확정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는 `22년도 예산안이 국회에서 최종 확정됨에 따라 기계·장비·로봇 분야에 금년 3,565억원 보다 269억원(7.6%) 증액된 3,834억원 규모로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함
❮`22년 기계·장비·로봇 분야 지원 규모❯
ㆍ연구개발 : (‘21년) 2,604억원 → (‘22년) 2,690억원(3.3%↑)
ㆍ기반구축 등 : (‘21년) 961억원 → (‘22년) 1,144억원(19.0%↑) |
ㅇ기계·장비·로봇 분야는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반산업임을 감안, 산업계의 당면 과제인 탄소중립, 디지털전환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중점 지원함
ㅇ또한, 비대면 서비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돌봄 서비스 등 사회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로봇을 활용한 사업화 모델을 개발하고 실증사업을 통해 로봇의 보급·확산에 주력할 계획임
❮기계·장비 분야❯
1. (친환경)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ㅇ △화석연료 기반의 건설·농기계의 내연기관을 전기·수소 기반 친환경 동력원으로 전환, △친환경 냉매를 적용한 고효율 히트펌프를 개발하여 보일러 등 기존 열원기기의 에너지원 대체
ㅇ △고중량 구조물 가공시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공작기계의 에너지 소비 효율화*, △제조공정의 폐열을 활용하는 열전발전시스템
*공작기계 운용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 개발 및 에너지 저감 효과 실증
2. (디지털전환)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융복합·서비스化
ㅇ건설·농기계에 AI, IoT 등 기술을 융합하여, △자율작업 고도화*, △지능형 안전관리**, △이종 건설기계간 협업*** 기술 개발
*굴착기의 지면 고르기, 농기계의 제초·방제 등 단위 작업의 자율화
** 건설기계 작업시 주변 장애물 인식 및 회피, *** 로더-트럭간 상하차 작업 등
ㅇ제조현장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능형 연삭기* 등 기존 장비에 AI 기술을 탑재하여 제조장비 지능화 기술개발 지원
*(기존) 가공 후 육안으로 결과 확인·재작업 → (지능형) 장비가 자체 진단 및 피드백
3. (신산업 제조장비)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Big3 산업과 나노 분야의 공급망 강화를 위해 핵심 제조장비* 국산화 기술개발
*수소차 수소압력용기 고속 제조장비, 의약품 제조용 바이오리액터(배양) 등 12개
ㅇ 제8차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11.17일)에서 발표한 “신산업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의 후속 조치로, 신산업 제조장비 시장 선점과 기술 자립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
*`21.11.17(수)에 기 배포한 `제8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보도자료 참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