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22년도 과기정통부 업무 계획

  • 등록일2021-12-29
  • 조회수1846
  • 발간일
    2021-12-2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미래기술#빅데이터
  • 첨부파일


2022년도 과기정통부 업무 계획

- 미래기술 혁신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포용적 성장 실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12.28(화) ‘미래기술 혁신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포용적 성장 실현’을 목표로 그간의 성과와 내년도 과제를 포함한 22년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
 
 
그간의 성과
 
□ 지난 4년반 동안 4차 산업혁명 대응과 과학기술 혁신에 주력한 결과, 우리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은 국제사회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혁신 세계 1위(블룸버그), 5세대(5G) 품질 세계 1위(옴디아), 과학 인프라 세계 2위(WEF), 디지털 잠재력 세계 5위(JCER) 등
 
□ (디지털 뉴딜로 디지털 강국 도약) 5세대(5G) 세계최초 상용화, 인공지능 국가전략 수립, 데이터 댐 구축 등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의 토대 위에 닥터앤서 (AI 주치의) 등 성과사례가 도출되며 새로운 시장 및 기업이 성장*중이다.
    * 데이터 시장 : (19) 16.9→(20) 19.3조원 / 데이터‧AI 공급 기업 : (19) 613→(21) 2,117개
 
□ (사람 중심 연구개발 혁신으로 튼튼한 과학기술 기초 확립)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는 2배로 확대되었고((17) 1.26→(22) 2.55조원), 누리호 1차 발사로 우주기술의 자립 기반이 확보되었으며, 2050 탄소중립을 견인할 10대 핵심기술도 본격 개발중이다.  
 
□ (연구개발 지휘본부 정립으로 국가경쟁력 향상) 과학기술혁신본부 출범 등 연구개발 종합‧조정 기능의 강화로 범부처 협업을 통해 소‧부‧장 및 빅3 등의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21년에는 국가연구개발 100조원 시대를 개막하여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중이다.
 
□ (포용적 과학‧정보통신기술 정책으로 삶의 질 제고) 요금할인율 상향(20→25%), 취약계층 요금감면 등으로 연 4.2조원 규모의 통신비를 경감하고(20), 디지털 배움터로 100만명 이상에게 디지털 역량교육을 제공하는 한편, 여성과학기술인의 경력 복귀(17~21년 2,016명)도 지속 확대중이다.
 
□ (우수한 과학‧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케이(K)-방역 뒷받침) 후보물질 발굴 및 영장류 실험 등 전임상시험을 통해 국산1호 코로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민관이 협력해 마스크앱, 백신예약시스템 개선도 적기에 이루어졌다.
 
 
22년 중점 추진과제
 
□ 22년은 기술패권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디지털 전환은 전 사회로 확산될 전망으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ICT)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는 진단 아래, 미래기술 혁신과 디지털 뉴딜을 가속화하여 국민이 보다 체감하는 성과 창출에 주력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4가지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