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제3차 강소특구 신규 지정을 위한 심사 개시
- 등록일2021-12-29
- 조회수1586
-
발간일
2021-12-2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강소특구#세제혜택#예산지원#규제완화
- 첨부파일
제3차 강소특구 신규 지정을 위한 심사 개시
- 인천, 강원 춘천 대상 강소특구 신규 지정 심사 추진
- 28일,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 발족을 시작으로 본격 심사 착수
□ 제3차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신규 지정을 위한 여정이 시작되었다.
ㅇ 강소특구는 지역에 소재한 대학, 출연연 등 기술핵심기관 중심으로 육성되는 소규모・고밀도 연구개발특구 모델로, 강소특구로 지정이 되면 세제혜택,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각종 행정·재정적 지원이 수반된다.
ㅇ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19년, 20년 두 번에 걸쳐 총 12곳*을 강소특구로 지정하였다.
* (‘19 지정) 창원, 진주, 김해, 안산, 포항, 청주 (’20 지정) 구미, 서울(홍릉), 울산, 나주, 군산, 천안·아산
□ 금번 강소특구 지정 심사는 과기정통부로 강소특구 지정을 요청한 인천과 강원 춘천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ㅇ 인천은 인천대학교를 기술핵심기관으로 하는 환경 산업 특화 강소특구의 지정을,
ㅇ 강원 춘천은 강원대학교를 기술핵심기관으로 하는 바이오 특화 강소특구 지정을 요청하였다.
□ 과기정통부는 본격적으로 강소특구 지정 심사를 추진하기 위해 산·학·연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를 28일(화),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발족한다고 밝혔다.
ㅇ 발족식을 시작으로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는 심사 대상 지역이 보유한 혁신 역량(연구개발인력, 투자비, 특허 등)과 특화분야의 적합성, 공간의 타당성(구역계, 기업 입주시설 지원계획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컨설팅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ㅇ 이번에는 심사 대상이 2곳인 만큼, 과기정통부는 심사 기간을 단축하여 집중도 높은 지정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