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발표
- 등록일2022-01-03
- 조회수1819
-
발간일
2022-01-02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양자기술#첨단 바이오#종합시행계획 #탄소중립
- 첨부파일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발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
◈ 탄소중립·양자기술·첨단 바이오 등 미래 핵심기술 개발(1.28조원),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예산 확대(2조 136억원, 전년대비 +2,107억원)
◈ AI·지능형반도체·6G·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필수전략기술 분야 신규과제 1,687억원 등 ICT 핵심원천기술 R&D 투자(1.04조원)
◈ 누리호 2차 발사(’22.하) 및 달 궤도선 발사(‘22.8월), 다양한 위성항법 수요 충족을 위한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KPS) 개발 본격 착수
◈ 인공지능·우주·반도체 등 미래 유망기술분야 전문 인력 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6조 4,227억 원을 투자하는 ‘2022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예산 5조 491억 원, 정보통신방송기술(ICT) 분야 연구개발 예산 1조 3,736억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원 예산은 전년(5조 7,511억원)대비 약 11.6% 증가하였다.
※ 과기정통부 전체 연구개발(R&D) 예산 총 9조 5,647억 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출연기관 연구운영비 등은 제외
- 세부적으로는 기초연구(2조원), 원천연구(3.3조원), 성과활용·사업화(3,654억원), 인력양성(2,991억원), 기반조성(4,597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 금년에는 국가 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미래 기술강국으로 도약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3대 분야 11대 중점 투자방향을 설정하고 총 6조 4,227억 원의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한다.
ㅇ 먼저, 탄소자원화, 이차전지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양자기술, 첨단 바이오 등 혁신성장을 견인할 핵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며,
* 단계도약형 탄소중립기술개발(’22년 150억원), CCU 3050(’22년 90억원) 등
** 양자컴퓨팅기술개발(’22년 114억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22년 2,438억원) 등
- 누리호 2차 발사(’22.하)를 병행하면서 발사체 고도화*를 지원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을 착수하여 우주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22년 신규, 1727억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22년 73억원)
ㅇ 또한, AI·지능형반도체·6G·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필수전략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지원*을 확대(’22년 신규 1,678억원)하고,
* 사람중심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개발(’22년 신규, 371억), 6G핵심기술개발(’22년, 307억),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22년 신규, 210억) 등
- 민‧관 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지원 확대, 미디어 특화 기업육성 신설 등 디지털 대전환을 견인할 유망 ICT 스타트업을 육성을 강화*한다.
* 민·관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육성(대기업이 멘토링·판로지원 등 지원하면 정부는 R&D 지원, 22년 80억), 미디어팔레트 시장가치 창출형 기술개발(’22년 30억) 등
ㅇ 이를 지원하기 위해,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를 확대*하고, 미래 유망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지역 R&D 혁신*** 등 연구역량을 강화한다.
* 기초연구예산(과기정통부) : ’21년 1.79조원 → ’22년 2.01조원(+11.8%)
** 시스템반도체(’22년 86억원), 양자(’22년 70.5억원), 우주(’22년 90.5억), AI대학원(‘22년 10개 / 대학(원)별 20억원), AI융합혁신인재양성(‘22년 신규 5개 과제 지원)
***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82.5억원) : (기존) 6개 (신규) 3개
□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1월 3일자로 공고하였으며,
ㅇ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1.25(화))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