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2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 등록일2022-01-03
  • 조회수1756
  • 발간일
    2021-12-22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식품부 주요업무#202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농림축산식품부 주요업무 추진계획
  • 첨부파일


202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목 차]

Ⅰ.4년 반 추진성과와 평가 

Ⅱ. 2022년 업무추진 여건 및 방향 

Ⅲ. 2022년 핵심 추진과제

Ⅳ. 2022년, 국민의 삶이 이렇게 바뀝니다 

【별첨】4년반 성과/22년 계획 관련 체감 사례



 
I. 4년 반 추진성과와 평가

 
1. 주요 정책성과 
 
■ 농식품부터 농업 기술까지 ‘K-농업’을 통한 국격 제고 
 
◇ K-푸드 프리미엄을 통한 농수산식품 수출 100억불 첫 돌파, 우수한 농업기술 및 쌀 개도국 지원 등 K-농업으로 국격 향상
 

□ 추진실적
 
 ➊ (수출) 품종 개선, 수출통합조직 지정 및 단계별 품질관리, 물류애로 해소(전용기·선복 등) 등을 통해 딸기·포도 등 스타품목 육성
 
     * 딸기는 ‘20년부터 재배·저장·선도유지·물류·시장개척 등 단계별 맞춤 전략 추진
 
 ➋ (기술지원) 저개발국의 농업현안 해결을 위해 가축질병 진단 기술, 통계시스템 구축 등 우리나라의 우수한 농업 관련 기술 전수
 
     * (베트남) 가축질병 진단센터 건립 지원 및 가축질병 진단 기술 전수(‘14~’18)(동남아 6개국) 농식품 정보 통계 디지털화(전산화) 지원(‘14~’26) 
 
 ➌ (식량원조) 아프리카·중동 등 6개국에 4년간 쌀 20만톤 지원(매년 5만톤) 
 
     * (‘18~’20) 에티오피아·케냐·우간다·예멘 4개국 → (‘21) +라오스·시리아
 

□ 정책효과
 
 ➊ (역대 최고 수출 실적) K-푸드 프리미엄 이미지 제고로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 중이며, 농수산식품 최초로 100억불 돌파*(‘21.11.25)
 
     * (’17) 91.5억불 → (‘18) 93.0 → (’19) 95.3 → (‘20) 98.7 → (’21p) 113.7(‘17년比 24.2%↑)
 
 ➋ (K-농업 위상 제고) 수원국 가축질병 대응력 향상* 및 농식품 정책 통계 기반 구축 등 가시적 성과와 함께, 국제적으로 협력성과 인정**
 
     * (베트남)‘19년 첫 발생한 ASF에 체계적 대응 → ’20년 돼지 사육두수 및 돼지고기 생산량↑
    ** 식량안보정보시스템(AFSIS) 협력사업은 ‘21년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로 선정
 
   - 또한, 베트남에 지원한 진단센터·기자재는 코로나19 대응에도 활용
 
 ➌ (개도국 식량위기 완화) 한 세대만에 수원국(‘64~’84)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수원국의 식량위기 해소*에 기여
 
     * WFP 사무총장은 한국의 기여에 대해 특별히 사의 표명(‘20년 농업인의 날)
 
 
󰊲 기술·데이터에 기반한 농업 확산
 
◇ 기술과 데이터 기반 농업으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여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하고, 수급불안 등 농업의 고질적 문제 개선
 
 
□ 추진실적
 
 ➊ (스마트팜 혁신밸리) 스마트농업 청년농 보육, 기업의 제품·기술 실증 기능이 집약된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 스마트농업 확산 거점 마련
 
     * 1차 지역(상주, 김제) ’21.하반기 완공, 2차 지역(밀양, 고흥) ’22.상반기 완공 예정
 
   - 혁신밸리와 연계하여 청년 대상 스마트팜 교육 및 경영실습 지원*
 
     * (’18)1기 45명(‘20.6월 수료 후 38명 창업, 4명 취업) → (‘19)2기 81명(’21.6 수료, 임대형팜 입주준비 중) → (’20)3기 174명(경영형 실습 중) → (‘21)4기 208명(교육형 실습 중)
 
   - 센서·영상장비 등 ICT 시설·장비, 제어 시스템 등 스마트팜 지속 보급
 
     * ‘17년 대비 ’21년에 스마트 온실(6,485ha)은 62%, 스마트 축사(4,743호)는 492% 증가
 
 ➋ (K-스마트팜 수출) 신북방 지역(카자흐)에 국산 스마트팜 기자재 수출 거점인 K-스마트팜 시범온실 구축(’21.10.), 수출상담회·바이어 매칭 등 추진
 
   - 시범온실 활용 현지 농대생 기술교육 지원(‘22~) 등 인력양성 협력
 
 ➌ (관측 정교화) 주요 채소에 대한 관측을 전화방식에서 실측방식으로 개편하고, 실측 데이터 민간 개방* 및 수급예측 모형 경진대회 정례화**
 
     * 실측데이터 개방(’20.7.~’21.11.) : 조회 639,640건, 데이터 다운로드 154,456건
    ** 농업경제학회와 1회 기개최(‘20.11.~’21.1., 44건 논문 접수·시상), 2회 공고 중
 
□ 정책효과
 
 ➊ (청년층 진입 촉진) 청년농 스마트팜 성공사례* 확산은 농업에 청년층 진입을 촉진하여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선순환 유도
 
     * 사례) 서ㅇㅇ(37세): ○○대 기계공학 석사 및 △△전자 근무(3년), 혁신밸리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수료(’20) 후 오이 스마트팜 「보령 그린몬스터즈」 창업(0.5ha)
 
 ➋ (수급안정) 농업관측의 예측력 제고를 통한 선제적 수급안정대책 시행으로 연례적인 양파·마늘 가격 급등락 최소화에 기여
 
     * 농업관측 정확도: (‘20)91.3% → (’21.9.)93.35대 채소류 연간 가격 변동률: (‘18)16.29% → (’21.9, 현재)13.3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