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가상생물자원관 밑그림 그렸다

  • 등록일2022-01-18
  • 조회수1449
  • 발간일
    2022-01-17
  • 출처
    환경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환경부#가상생물자원관#국립생물자원관
  • 첨부파일


가상생물자원관 밑그림 그렸다

- 국립생물자원관, 디지털 전환 등 생물다양성 정보화전략 수립 -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최근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올해 말부터 각종 생물다양성 정보를 메타버스* 기반의 디지털 융·복합 서비스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아바타를 이용, 현실 세계처럼 활동할 수 있는 3차원 가상공간 


□ 국립생물자원관은 2010년도부터 운영 중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누리집(species.nibr.go.kr)에 공개된 3백만 건 이상의 생물다양성 정보(국가생물종목록, 표본·소재, 소리·동영상, 사진, 유전정보 등)를 토대로 가상의 디지털 생물자원관 공간에서 생물표본을 열람할 수 있는 실감형 서비스를 올해 말에 선보일 계획이다.

 ○ 아울러 2026년까지 가상의 공간에서 디지털 생물소재은행(자생생물 종자 및 추출물 등)의 분양, 야생동물 분포 예측 체험 등으로 가상 체험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 특히 앞으로 5년 동안 국가가 관리하는 생물다양성 정보를 ’데이터댐*‘으로 구축하여 가상체험 생물교육관, 디지털 전시관 등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실감형 정보 제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 2020년 7월 14일 정부에서 발표한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 과제 중 하나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를 모아두는 저장소

 


 ○ 이와 함께 생물자원의 단계적 디지털화와 융‧복합 기술을 접목한 ‘다중매체 수장고’를 마련하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공단 등 환경부 산하 기관과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정보 연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 또한, 정보 개방을 통해 생물다양성의 인식을 높이고 민간 활용 중심의 개방정보 관리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 최종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자생생물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생물자원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이용자 중심의 정보서비스 제공과 고품질의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생물다양성 정보 확보와 자료 개방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사진.
2. 전문용어 설명.  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