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산업부,‘22년 바이오 분야 R&D에 2,743억원 규모로 지원 확대

  • 등록일2022-01-25
  • 조회수1629
  • 발간일
    2022-01-24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바이오 R&D
  • 첨부파일
    • pdf 0124(25조간)산업부 바이오융합산업과 산업부‘22년 바이오 분야 ... (다운로드 9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산업부, ‘22년 바이오 분야 R&D에 2,743억원 규모로 지원 확대

- 디지털전환 및 미래 융복합 기술 확대를 통한 성장 확보 - 

-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및 탄소중립 등 미래 아젠다 대응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바이오분야 ‘22년도 R&D에 전년도 대비 372억원(15.7%) 증액된 2,743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계획을 밝힘


❮`22년 바이오분야 R&D 지원 규모❯
▪ 바이오분야 R&D 지원 예산 : (‘21년) 2,371억원 → (‘22년) 2,743억원(15.7%↑)

ㅇ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기반 디지털 전환과 미래형 융·복합기술 기반 차세대 바이오 핵심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 기조를 유지하고,
ㅇ 부처 협업을 통한 상용화 단계의 의약품‧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탄소중립 등 사회적 현안을 극복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임


❮주요 분야❯
① (바이오) 신약, 개량의약품 개발 등 바이오 핵심기술의 사업화 지원 및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ㅇ(신약 및 개량의약품 개발) 신약, 개량의약품 개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차세대 개발 플랫폼 지원
▪ 국가신약개발 : (‘21년) 150억원 → (’22년) 461억원
▪ 맞춤형 진단·치료제품 : (‘21년) 269억원 → (’22년) 317억원
▪ 3D생체조직칩기반 신약개발플랫폼 구축 : (‘21년) 67억원 → (’22년) 66억원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기술개발 : (’22년 신규) 21억원


ㅇ(백신 허브 구축 및 감염병 대응) mRNA백신 등 최신 플랫폼 백신개발에 필요한 원부자재 국산화 및 대량 공정기술 개발 지원
▪ 방역연계 범부처감염병 연구개발 : (‘21년) 6억원 → (’22년) 10억원
▪ 구조기반 백신설계기술 상용화 기술개발 : (’22년 신규) 30억원
▪ 백신 원부자재·생산고도화 기술개발 : (’22년 신규) 68억원

ㅇ(첨단소재 개발) 천연 고부가가치 대체소재 발굴을 통한 신규 바이오소재 기술개발 확대·지원
▪ 첨단바이오신소재 : (‘21년) 253억원 → (’22년) 277억원

 



② (의료기기) 개발·임상·제품화 전주기 지원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현장수요 기반 의료기기 개발을 통하여 사용자의 수용성 제고


ㅇ(전주기의료기기 개발 지원) 의료기기 전주기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시장지향형 의료기기 개발 및 산업 경쟁력 강화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 : (‘21년) 641억원 → (’22년) 612억원


ㅇ(ICT기반 융합서비스) ICT 융복합 기술개발을 통한 사용자 편의성 향상 및 재난 상황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이동형 병원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 : (‘21년) 22억원 → (’22년) 21억원
▪ 영상진단의료기기탑재용AI기반영상분석 : (‘21년) 52억원 → (’22년) 56억원
▪ 5G기반 이동형 유연의료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 : (’22년 신규) 35억원


ㅇ(병원-기업 협력 강화) 병원-기업간 공동 R&D 체계를 구축하여 현장 수요에 기반한 의료기기 개발 및 사업화 촉진
▪ 현장수요반영 의료기기고도화 기술개발 : (‘21년) 45억원 → (’22년) 47억원
▪ 병원-기업공동연구기반 의료기기고도화 기술개발 : (’22년 신규) 14억원



③ (헬스케어) 의료 데이터, AI 등을 융합한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실증·사업화 지원


ㅇ(디지털헬스케어 기술 선점) AI·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비대면 의료서비스 기술개발 및 비약물 치료기반 디지털치료제 개발
▪ 디지털헬스케어 : (‘21년) 203억원 → (’22년) 323억원

ㅇ(실증·사업화) 코로나로 인해 소외되는 계층 등을 위해 의료접근성을 강화한 직무·대상별 비대면 건강 관리 서비스 개발 확대 지원
▪ 5G기반 스마트헬스케어 제품사업화 및 실증 기술지원 : (’22년 신규) 10억원


④ (탄소중립)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을 통하여 화석연료 의존 탈피 및 화이트바이오산업 생태계 구축


ㅇ (바이오플라스틱) 100% 바이오매스기반 바이오플라스틱 제조공정기술 개발 및 탄소중립형 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개발 신규 지원
▪ 바이오매스기반 탄소중립형 바이오플라스틱제품기술개발 : (’22년 신규) 36억원

□ 산업부는 코로나19 이후 핵심 新성장동력으로 부상한 바이오산업의 기술개발 극대화를 고려하여 예산을 조기 집행할 계획임
 
ㅇ ‘22년 1월 17일 제1차 바이오 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공고하였으며, (52개과제, 388억원 규모)
 
* ①맞춤형진단·치료제품, ②디지털헬스케어, ③첨단바이오신소재, ④백신 원부자재·생산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⑤바이오매스기반 탄소중립형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기술개발 사업, ⑥5G기반 이동형 유연의료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ㅇ 사업별 심의위원회를 거쳐 추가로 사업을 공고하여 BIG 3로 대표되는 바이오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 확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 (18개 과제, 75억원 규모)

* ①구조기반백신설계기술 상용화, ②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제품화 지원, ③5G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사업화 및 실증 기술지원, ④병원-기업 협력 공동사업화 기반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사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