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 제4차 회의 개최(2.10.)

  • 등록일2022-02-10
  • 조회수1498
  • 발간일
    2022-02-10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복지부#백신#한미#감염병
  • 첨부파일
    • hwp [2.10.목.회의시작(9시)이후]_한미_글로벌_백신_파트너십_전문가... (다운로드 6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제4차회의 개최(2.10.)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미국 보건부와 2월 10일 영상으로 제4차「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회의를 공동개최하였다. 
 
 ○ 동 회의는 2021년 5월 한미 정상회담 직후 출범하여, 한미 양국 간의 백신협력을 통해 감염병에 대한 공동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운영되고 있다.
 
 
□ 오늘 회의에서 양국은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을 연계한 백신 협력방안, 감염병 대응 공동 연구개발(R&D)을 위한 인력교류 방안, 코로나19 대응경험 등을 논의하였다. 
 
 ○ 미국 측에서는 보건부 국제문제 차관보, 국무부 무역분야 선임보좌관, 백악관 코로나19공급팀 정책보좌관, 백악관 코로나19대응팀 선임정책보좌관 등 7명이 회의에 참석하였고, 
 
 ○ 한국 측에서는 대통령비서실 사회정책비서관, 대통령비서실 신남방신북방비서관, 보건복지부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장,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보건복지부 재생의료정책과장, 외교부 에너지과학외교과장, 국립감염병연구소 감염병연구기획총괄과장 등 9명이 참석하였다.
 
 ○ 첫 번째 안건으로 2021년 5월 한미 양국 정상이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구상을 연계하기로 한 합의에 기반하여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한미 양국이 백신과 필수의료물자 공급, 과학자 등 전문인력 교류 등 영역의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 다음으로 양국 연구자 간 인력교류 활성화 및 공동연구 촉진 기반 마련에 대해서도 협의하였다. 
   - 한국은 한국의 ‘바이오메디컬 해외연수 지원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한국 국립감염병연구소(NIID)와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간 전문가 및 과학자 인력교류, 재생의료 분야의 공동임상연구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협력과제를 논의하였다. 
   - 미국은 한국의 제안을 환영하며, 인력교류 경험이 풍부한 국립보건연구원(NIH)을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마지막으로 양국은 지난 2년간의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경험 및 정책적 시사점을 공유하였다. 
   - 미국 측은 백신공여 경험을 공유하며, 인도주의적 관점 및 공여 관련 규제 측면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발표하였다. 
   - 한국 측은 2022년 6월경부터 시작하는 중저소득국 바이오 인력에 대한 교육(300명) 등 글로벌 인력양성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미국 측의 지지와 협조를 요청하였다.
 
 
□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은 2021년 6월 출범한 이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해 왔다. 
 
 ○ 그간 개최되었던 회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 2021년 6월「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 출범과 함께 개최한 첫 번째 회의에서는 한미 양국간 협력과제 및 「전문가 그룹」 논의 일정과 운영방안에 대해 합의하였다.
 
 ○ 2021년 7월 개최한 두 번째 회의에서는 백신 원부자재 공급망 확보 및 강화를 위한 한미 양국 협력방안이 주로 논의되었다. 
   - 한미 양국은 백신 원부자재 공급망 현황을 공유하고, 수급 불안이 존재하는 품목의 공급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후속 논의를 통해, 한미 양국은 수급 불안 해소방안으로서 코백스 마켓플레이스(COVAX Marketplace) 활용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코백스 마켓플레이스) 백신 원부자재의 수요-공급 흐름 개선을 위해, 원부자재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이 연결되도록 감염병혁신연합(CEPI) 주도로 운영중인 플랫폼
 
 ○ 2021년 9월에는 감염병 분야 연구개발(R&D) 협력을 주제로 세 번째 회의가 개최되었다. 
   - 한미 양국은 임상연구,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치료제·백신 개발, 감염병 기초연구, 신약개발 공동연구에 대한 상호 관심사를 공유하였다. 
   - 한국 측에서는 국립감염병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미국 측에서는 국립보건연구원의 전문가가 회의에 참석하였다. 
   - 참석자들은 공동연구사업 추진에 대한 상호 관심사를 확인하였고, 이후 양국 관련 기관들이 실무협의를 진행하면서 차기 회의에서 그 경과를 점검하기로 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