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22년도 공공연구성과 확산 주요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 등록일2022-02-10
- 조회수1516
-
발간일
2022-02-09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공공연구성과#신규과제
- 첨부파일
2022년도 공공연구성과 확산 주요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 기술키움, 대학 오픈랩(Open-Lab), 대학기술경영촉진 등 5개 사업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원장 김봉수)은 2월 10일(목) 10시에 기초·원천 연구성과 실용화 촉진를 위한 「2022년도 공공연구성과 확산 주요사업」에 대한 통합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는 ▲ 공공연구성과가치창출기술키움, ▲ 지역산업연계 대학오픈랩(Open-Lab) 육성지원, ▲ 대학기술경영촉진, ▲ 과학치안 공공연구성과 실용화촉진, ▲ 지역과학기술성과 실용화지원 등 올해 신규과제를 선정하는 사업이 대상이며, 사업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공공연구성과 가치창출 기술키움) 연구자‧중개자‧기업 3자가 일체화되어 기초‧원천기술을
다양한 응용기술로 분화‧실용화*하는 전주기 선도 프로젝트 사업으로,
* 하나의 기초‧원천연구 성과를 다양한 기업과 매칭하여 병렬적 실용화 추진
- 올해 기술키움 2개 연구단을 신규로 선정하여, 앞으로 3년간 연구단별 총 54억원 내외를 지원한다.
※ (’22년 신규 지원 규모) 사전기획 4개(3개월, 연구단별 32.5백만원) → 기술키움 2개(6개월, 연구단별 900백만원)
ㅇ (대학 오픈랩(Open-Lab) 육성 지원) 대학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오픈랩(Open-Lab*)을 구성하고,
지역 기업에 대학 보유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 후속연구 등 기술 고도화를 통해 지역 기업에 대학 보유기술을 이전하고 사업화 활동을 지원하는 공동연구실,
대학별 6개 내외 오픈랩(Open-Lab)을 구성・운영
- 올해 3개 대학을 신규 선정하고, 앞으로 1.5년간 대학당 총 18억원 내외를 지원한다.
※ (‘22년 신규 지원 규모) 사전기획 6개(3개월, 과제당 30백만원) → 본 과제 3개(6개월, 과제당 600백만원)
ㅇ (대학기술경영촉진) 대학기술이전전담조직(TLO)과 기술지주회사를 통합 지원하여, 대학 보유 공공 기술 이전·사업화 촉진을 위한 사업으로, 올해 15개 대학을 신규로 선정하고, 총 3년간 지원한다.
(‘22년 신규과제 지원 규모)
ㅇ (과학치안 공공연구성과 실용화 촉진)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의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공공연구성과와 과학치안 수요를
매칭하여 첨단 과학수사 기법, 장비 연구개발 등 치안 기술실용화 연구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 단기 치안연구개발 기술실용화(2년, 6억원/년 내외) 및 기초·원천 연구성과 기반 치안 기술실용화(3년 9개월, 6억원/년 내외)로 구분하여, 민생치안 역량 강화 및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치안 기술실용화를 지원한다.
※ (‘22년 신규 지원 규모) 단기 치안R&D 기술실용화 3개, 기초·원천 연구성과 치안분야 기술실용화 3개(사전기획 6개)
ㅇ (지역 과학기술 성과 실용화 지원) 과학기술 성과 실용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STAR-Academy*) 설립·운영하는
사업으로 올해 6개 대학원을 선정하여, 총 6년간 지원한다.
* STAR-Academy : Science and Technology Acceleration for Region + Academy
< `22년~`27년 대학원별 지원규모(안) >
※ ’23년 이후 예산 규모는 사업성과, 정부예산 확보 상황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사업 통합설명회는 공공연구성과 확산 사업에 관심이 있는 대학‧출연(연), 연구자, 대학기술이전전담조직, 수요기업 등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방향과 주요 과제들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ㅇ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YouTube Live)을 통해 생중계*되며, 사업 설명 후 온라인 참가자와의 질의·응답이 실시간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유투브 생중계 주소: https://youtu.be/yBV9Udx9ZaM
ㅇ 또한, 사업설명회 영상녹화자료를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누리집(http://www.compa.re.kr)을 통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