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9개 경제자유구역, 신산업 육성 청사진 제시

  • 등록일2022-02-15
  • 조회수1615
  • 발간일
    2022-02-14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경제자유구역#바이오클러스터
  • 첨부파일
    • hwp 0214(15조간 16시엠바고)정책기획팀 9개 경제자유구역 신산업 육... (다운로드 6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9개 경제자유구역, 신산업 육성 청사진 제시

- 경제자유구역별 제1차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 31년까지 사업체 6.6천개 추가 유치, 일자리 21만개 창출 -

 


□ 9개 경제자유구역청은 경제자유구역을 신산업‧지식서비스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제128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위원장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 보고하였음

 * (일시/장소) ‘22.2.14(월), 14:00 / 한국기술센터 16층 대회의실


□ 이번에 보고된 경제자유구역별 발전계획은 「경제자유구역 2.0, 2030 비전과 전략」(‘20.10월), 경제자유구역법 개정(’21.6월)에 따른 후속조치로,  각 경제자유구역의 장기 발전비전과 핵심전략산업*의 특화·육성 전략을 담고 있음
   *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 각 경제자유구역의 여건·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중점유치업종을 위주로 핵심전략산업을 선정하여, 동 분야 입주 국내기업에 외투기업과 동등한 입지지원 제공
    - ‘21.11월 각 경제자유구역청의 신청 및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의결을 거쳐 선정·고시
    - 경제자유구역별 3∼4개 산업,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5자리) 26∼56개로 구성

□ 9개 경제자유구역청은 발전계획 추진을 통해 ‘31년까지 국내‧외 추가 투자유치 51조원(누적 91조원), 입주 사업체 6.6천개 추가 유치(누적 13천개), 일자리 21만개 창출(누적 38만명) 등 발전목표를 달성해 나갈 계획임



0215 산업부.JPG


 

ㅇ 이를 위해 각 경제자유구역청은 산학연 혁신클러스터 구축, 첨단기술을 연계한 기존 주력산업 고도화 등 핵심전략산업을 차별화하여 특화·육성한다는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신규 투자기업 유치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추가 단위지구 후보지를 검토하고, 투자기업 지원을 위한 기반‧공공‧기업지원시설 확충, 산학연 혁신생태계 조성, 맞춤형 기업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발굴해 나가기로 함

 ㅇ 산업분야별 경제자유구역의 주요 추진전략은 아래와 같음
   - (바이오·헬스케어) 바이오의약품 생산, 신약 개발, 첨단스마트 의료기기 제조 등을 통해 K-바이오를 선도하고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로 도약



0215 산업부 - 인천충북대구.JPG

- (모빌리티) 친환경자동차, 드론, 스마트선박 등과 핵심부품, AI 융합 자율주행 기술 접목을 통해 미래모빌리티 산업을 선도



0215 산업부 - 경기충북광양.JPG

- (에너지) 수소‧저탄소에너지, 스마트에너지와 관련된 부품의 제조 및 활용으로 탄소중립 지원을 가속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