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특허청, 백신 개발 지원을 위한 「백신 원부자재 특허분석 보고서」 발간, 배포

  • 등록일2022-02-24
  • 조회수1575
  • 발간일
    2022-02-24
  • 출처
    특허청
  • 원문링크
  • 키워드
    #특허청#백신#특허분석
  • 첨부파일
    • hwpx 035 [특허청] 백신 개발 지원을 위한백신 원부자재특허분석 보고... (다운로드 9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특허청, 백신 개발 지원을 위한 「백신 원부자재 특허분석 보고서」 발간·배포

- 국산화가 필요한 원부자재 16개 품목 특허정보 분석 -

 

# 코로나19 백신 생산기업인 모더나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를 체내에 전달하는 핵심 원부자재인 지질나노입자(LNP)의 조성비 특허를 보유한 아뷰터스와의 특허 분쟁에서 패하여(‘21.12), 백신 생산을 위해서는 아뷰터스와 실시권 계약(라이선스)을 맺거나 수 조원의 침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러한 특허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백신 개발 시 사용되는 원부자재의 특허 침해 가능성도 검토해야 하고, 특허회피가 어렵다면 실시권 계약(라이선스)도 고려해야 한다.
# 미국 제약사 노바백스의 스탠리 어크 최고 경영자(CEO)는 “백신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필요한 일회용 배양백 품귀현상은 전 세계 백신 공급에 심각한 걸림돌이다”라고 말했다(‘21.4).

□ 특허청(청장 김용래)은 코로나19 백신 원부자재*를 개발하는 기업, 연구기관, 대학을 위한「백신 원부자재 특허분석 보고서」를 발간한다고 23일 밝혔다.
   * 백신 생산을 위한 원자재, 소모품, 장비 등
 ㅇ 해당 보고서는 백신 개발과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 원부자재 품목 16종에 대한 특허를 쉽게 파악하여, 백신 원부자재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거나 핵심특허에 대한 회피* 등 대응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 경쟁사가 보유하고 있는 특허를 침해하지 않도록 제품 설계를 변경하여 출원하는 것

□ 지난해 2회에 걸쳐 메신저 리보핵산(mRNA)(3종) 백신과 비(非) 메신저 리보핵산(mRNA)(16종) 백신에 대한 특허분석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이번 최종 보고서는 백신 기술 자립을 위해 선별된 필수 원부자재에 대한 특허분석 결과를 수록하였다.
 ㅇ 자료에는 백신 플랫폼별 제조공정과 공정별 필수 원부자재가 정리되어 있으며, 그 중 국산화가 필요한 16개 품목에 대한 주요기업 및 기술발전 현황, 실시권 계약(라이선스) 및 특허분쟁 현황, 원천·핵심 특허 228건에 대한 심층분석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0224 특허청.JPG


ㅇ 또한, ▲특허분쟁이 우려되어 회피전략이 필요한 원부자재 ▲특허분쟁 위험성이 낮지만 가격경쟁력, 수율 개선 등의 개선전략이 필요한 원부자재로 구분하여, 연구자들이 백신 원부자재의 국산화 전략을 쉽게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특허청 김지수 특허심사기획국장은 “최근 자동차용 반도체 품귀로 인해 자동차 완제품을 생산할 수 없었던 것처럼 백신 생산기술을 확보하더라도, 필수 원부자재가 하나라도 없다면 완제품을 생산할 수 없으므로 원부자재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이 백신 자립의 핵심이다.”라고 하면서, 
 ㅇ “이번 보고서가 우리 기업들의 효과적인 백신 연구개발에 도움이 되도록 향후 설명회를 통해 분석결과를 공유하고, 기업이나 기관 맞춤형 특허전략 지원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한편, 백신 원부자재 특허분석 보고서는 특허청 누리집의 ‘특허정보 내비게이션‘(http://kipo.go.kr/ncov)을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