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제4기 국가치매관리위원회 구성, 2022년 제1차 회의 개최

  • 등록일2022-02-25
  • 조회수1574
  • 발간일
    2022-02-25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국가치매관리위원회#치매관리종합계획
  • 첨부파일
    • hwp [보도참고자료]_제4기_국가치매관리위원회_구성__2022년_제1차_... (다운로드 5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4기 국가치매관리위원회 구성, 2022년 제1차 회의 개최

- 2022년 치매 관리 시행계획, 치매국가책임제 성과 및 향후 과제 등 논의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치매 관리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한 제4기 국가치매관리위원회*(임기 3년(‘22년 2월~’25년 2월))의 구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 국가치매관리위원회 : 치매관리법(제7조)에 따라 치매관리종합계획의 수립 및 치매 관리 주요 사업 등을 심의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 소속으로 구성된 심의기구로 보건복지부 제1차관, 민간위원 등 총 20인 이내로 구성 
 
 ○ 제4기 국가치매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정책과 현장, 공급자와 수요자의 의견이 종합적으로 반영되도록 각 계의 추천을 받아 위촉한 민간위원 12인과 정부위원 4인으로 구성하였으며, 
 
 ○ 위원회는 향후 국가 치매 관리 체계 및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치매 관리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다양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이번 2022년 제1차 위원회 회의*에서는 제4차(’21~‘25) 치매관리종합계획 시행 2년 차를 맞아 종합계획의 비전과 목표에 부합하도록 2022년 시행계획이 수립되었는지 점검하고, 
  *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고려하여 서면으로 진행(’22.2.25~’22.3.4, 8일간)
 
 ○ 2021년 12월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발표한 ‘치매국가책임제 그간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유하여 치매 정책의 향후 방향성 및 과제에 대해 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 양성일 제1차관(위원장)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변화하는 치매 정책환경과 수요에 긴밀히 대응해야 하는 시기에 이번 위원회가 구성된 만큼 우리나라 치매 정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위원회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국가치매관리위원회 개요 및 제4기 위원 명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