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올해 중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자주권 확보 목표, 미래 감염병 대응도 철저히 준비한다.

  • 등록일2022-04-04
  • 조회수1585
  • 발간일
    2022-04-01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복지부#코로나19#감염병 대응
  • 첨부파일
    • hwp [4.1.금.행사시작(14시_30분)이후]_올해_중_코로나19_백신·치료제... (다운로드 6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제13차 회의 개최 (4.1) -

◼ 국산 1호 백신 상반기 중 개발 완료, 하반기부터 본격 사용 추진  

◼ “한국형 감염병 대응 백신·치료제 신속 개발 체계” 구축 추진

 

□ 정부는 4월 1일(금),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이하 ‘범정부지원위원회’) 제13차 회의를 열어 그동안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 2022년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등 개발 지원전략과 ▲ 2022년도 부처별 추진계획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날 회의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공동위원장), 관계부처 및 국내 치료제‧백신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하였다.
 
□ 정부는 지난 2020년 4월부터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를 설치하여 범정부 차원으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 현재 국산 코로나19 치료제는 18개 기업에서 19개 품목에 대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은 9개 기업에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 특히 백신의 경우 백신 1개 기업(SK바이오사이언스)이 임상 3상 대상자 접종을 완료하였고, 검체 분석을 통한 백신 효능을 확인하고 있는 단계로 올해 상반기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정부는 ’2022년 백신·치료제 개발 지원전략‘ 수립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을 지속 개발하고, 미래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 첫째, 올해 중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자주권 확보를 목표로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백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 정부는 SK바이오사이언스 개발 백신에 대해 정부 주도 검체 분석을 실시하고 있으며, 선구매 계약 체결(3.21., 1,000만 회분) 등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 또한 추가 접종(부스터샷)에 대한 연구자 임상 시험, 아동·청소년 대상 조기 임상 시험 추진 지원 등 국내 예방접종 상황을 고려하여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 나아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범용 백신이나 독감 백신과 결합한 다가 백신 등 다양한 형태의 백신이 개발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이하 R&D) 지원*을 강화한다. 
     * 신속범용백신·고부가가치 백신·백신기반기술개발(복지부, ‘22. 169억 원), 신·변종 감염병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개발(과기정통부, 113억 원) 등 신규 연구개발(R&D) 추진
  ○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홍보를 강화하고, 코로나19 확진 시 임상시험 참여 의향을 확인하여 생활치료센터 등 「임상시험 실시기관」에 우선 배정하는 등 신속한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을 통한 치료제 개발 지원도 지속한다.
 
□ 둘째, 백신·치료제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 국내에서 개발·생산되는 백신·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국제기구 등과 협력 체계를 지속 강화하고, 국내 기업의 ’세계보건기구(WHO) 품질인증(PQ) 절차’ 등을 적극 지원한다. 
 ○ 먹는 치료제(MSD사(社), 화이자(社))에 대한 국내 기업의 제네릭 의약품의 생산·수출도 지원한다.
  - 현재 국내 3개 기업*이 국제의약품특허풀(MPP)을 통해 먹는 치료제(MSD(社), 화이자(社))의 제네릭 의약품 서브라이센스를 취득하였다.
  - 정부는 이들 기업의 개발, 허가, 생산 및 수출 등 전 과정에 대해 ‘임상시험 지원 TF**’ 등을 통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MSD) 한미약품(원료+완제품 생산), 셀트리온(완제품 생산), 동방에프티엘(원료 생산)(화이자) 셀트리온(완제품 생산), 동방에프티엘(주원료 ‘니르마트렐비르’ 생산)
     **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8개 관계부처, 국가신약개발재단 등 3개 기관 참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