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보급 시동

  • 등록일2022-04-05
  • 조회수1707
  • 발간일
    2022-04-05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촌진흥청#농진청#온실가스#탄소중립
  • 첨부파일
    • hwp 5-1_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벼 재배기술 현장보급 시동(지원국농과... (다운로드 6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보급 시동

- 올해 전국 10개소 시범사업 추진…성과 분석 후 기술보급 지역 확대 -

 

□ 2021년 10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라 농수축산 분야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2,400여만 톤 대비 38%를 감축할 계획이다.  

 

   * 탄소중립: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함
 
□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농식품 분야 2050 탄소중립 정책 지원의 일환으로 올해 전국 10개소*에서 ‘저탄소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확산 모델 시범사업(이하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 저탄소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확산 모델 시범사업(2022년)

농진청1.JPG

 

○ 시범사업 대상은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의 현장적용이 가능한 각 지역의 재배단지, 작목반, 연구회, 농업법인 등  벼 재배를 전업으로 하는 농업인 단체이다.

 

 * 농촌진흥청 개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관련 국가사업에 포함된 기술
①논물 관리기술 ②경운 관리기술 ③직파재배 ④토양검정 비료사용
⑤완효성비료 사용 ⑥풋거름 작물 재배 ⑦경축순환농법 ⑧바이오차 사용
⑨토지의 이용방법 전환(논 타작물 재배)


- 시범사업 대상지에는 논물 관리기술을 중심으로 △농경지 바이오차(Biochar)* 투입 △논물 관리기술(자동물꼬) △논 이용 밭작물 재배 등 지역별로 적합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이 적용된다.    
    * 바이오차: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탄소 함량이 높은 고형물을 의미함.
 
 ○ (메탄 발생량 감축하는 논물 관리)= 벼 재배기간 동안 물이 차있는 논에서는 온실가스인 메탄(CH4)이 생성되어 배출된다.
  - 논물 관리기술은 논에서 벼를 재배할 때 계속해서 물을 채우지 않고 △중간물떼기* △얕게 걸러대기** 등 논물 관리를 통해 메탄 발생을 줄이는 것이다.
  * 중간물떼기: 벼 이앙 후 약 1개월 동안 논물을 깊이 대고, 2~3주 정도 물을 떼서 논바닥에 실금이 보이면 물을 다시 댐  
   * 얕게 걸러대기 : 등숙기(곡식이 여무는 시기)에 논물을 얕게(2~4cm) 대고, 자연적으로 논물이 마르면 다시 얕게 되어줌. 이삭이 익을 때까지 반복함
 
 ○ (농경지 토양에 탄소 저장하는 바이오차)= 작물 재배 전 농경지 토양에 바이오차를 투입하면 토양에 탄소를 격리‧저장할 수 있다.
  - 바이오차 적용방법은 작물 재배 전에 밑거름 투입과 동시에 바이오차를 농경지 전면에 흩뿌린 다음 흙갈이(로터리)를 하여 표토*까지 균일하게 혼합하며, 토양개량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
   * 표토: 지표면에서 30cm까지 토양

 ○ (논에 벼 대신 밭작물 재배)= 논에서 밭작물을 재배하면 토양에 공기가 공급되어 메탄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즉 벼를 재배할 때 담수상태인 논에서 메탄이 발생하는 원리를 반대로 활용하는 것이다.
  - 농촌진흥청은 벼 적정생산 및 논의 경지이용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콩 단작, 봄감자+콩(2모작), 콩+밀(2모작), 감자+참깨+마늘(2년 3모작) 같은 다양한 재배 순서(28개 작부체계)를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은 디지털농업 기술을 활용한 자동 논물 관리를 위해 ‘외래품종 대체 최고품질 벼 생산·공급 거점단지(이하 최고품질 벼 생산 단지)’*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추진한다.
   * 농촌진흥청과 각 지방자치단체, 농협 등이 협력해 외래 품종 대신 밥맛 좋고 지역 적응성이 뛰어난 국내 육성 벼 품종 재배 확산을 위해 2020년부터 조성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