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보건의료데이터 품질관리로 바이오 디지털 혁신 선도”

  • 등록일2022-04-28
  • 조회수1588
  • 발간일
    2022-04-27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복지부#보건의료데이터#바이오 디지털 혁신
  • 첨부파일
    • hwp [4.27.수.행사시작(14시)이후]_보건의료데이터_품질관리로_바이오... (다운로드 7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보건의료데이터 품질관리로 바이오 디지털 혁신 선도”

- 제2차 보건의료데이터 혁신 토론회(포럼) 개최(4.27.) - 

- 수요자 중심 보건의료데이터 품질관리 제도 도입 방안 논의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임근찬)은 ’수요자 중심 보건의료데이터 품질관리의 과제‘를 주제로 4월 27일(수) 오후 2시 ‘제2차 보건의료데이터 혁신 토론회(포럼)’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유튜브 주소 : https://youtu.be/zl_eSCKZPpQ

 ○ ‘보건의료데이터 혁신 토론회(포럼)’는 보건의료데이터에 대한 현장 의견을 지속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서 2021년 4월 출범하였다.
   - 그간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정책 추진 방향’ 등 6차례 주제별 토론회를 통해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 토론회(포럼) 회차별 주요내용 >

연도

회차

행사명

주제

’21

1

(4)

보건의료데이터·AI 뉴노멀 시대 전망과 과제

보건의료데이터·인공지능 활용 혁신중장기 전략

2

(6)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정책 추진방향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성과 공유 및정책 개선방향 논의

3

(8)

데이터 경제 시대, 보건의료데이터에대한 권리주체는 누구인가

보건의료데이터 소유권 및 권리보호방향

4

(9)

보건의료데이터 보호 및 활용을 위한 법적 과제

보건의료데이터 생산·축적·연계·활용 관련 법제 개선방안 및 쟁점 논의

5

(11)

보건의료분야 메디컬 트윈 활용 현황 및 과제

디지털트윈 관련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및 활용 사례 공유, 주요 쟁점사항 논의

’22

1

(3)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안전한 생태계조성을 위한 실천 전략

보건의료 마이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 우리나라는 전 국민 건강보험, 병원 전자의무기록 등 잠재가치 높은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으로 가명 정보 처리 근거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으로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여건이 성숙하였으나,
 
 ○ 영상정보, 생체신호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 보건의료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 및 품질관리 기준이 미흡한 상황이며, 데이터 기반 성과 창출에 제약이 있다.
 
 ○ 이에 따라,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활성화의 관건인 고품질 데이터 생산을 위해 품질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오늘 토론회는 ‘수요자 중심 보건의료데이터 품질관리의 과제’를 주제로 5개의 발표 및 패널토론을 진행한다.
 
 ○ 기조 발표로, 대한의료정보학회 김종엽 교수가 ‘보건의료데이터 품질의 정의와 필요성 및 제언’에 대해 발표한다.
   - 이번 발표에서는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 연구목적 데이터의 품질 기준을 선도적으로 마련해야 함을 제언하고,
   - 고품질 데이터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①의료기관의 고품질 데이터 생산에 대한 유인체계(인센티브) 마련, ②의료데이터 특화 품질검증 지표 개발, ③의료데이터 품질검증 및 인증기관 설립을 제시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