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민간-정부 연계지원 기술개발(R&D)로 중소기업 스케일업에 박차

  • 등록일2022-05-12
  • 조회수1488
  • 발간일
    2022-05-11
  •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소벤처기업부#스케일업#R&D
  • 첨부파일
    • hwpx 220512_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_‘민간투자연계형’_과제_중소기... (다운로드 6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민간-정부 연계지원 기술개발(R&D)로 중소기업 스케일업에 박차

- 기술혁신 기술개발(R&D)(민간투자연계형) 25개 과제 선정결과 발표 - 


 □ 민간 검증을 통해 선투자(최근 3년간 5억원 이상) 받은 중소기업에정부가 후속 지원하는 투자연계형 기술개발(R&D) 지원(25개사, 56억원)
 □ 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의 선정 비율이 대폭 증가(‘21. 25%→ ’22. 48%)하여 수도권 편중 지원 완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5월 12일(목)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의 ‘민간투자연계형’ 과제에 중소기업 25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은 혁신역량이 있는 중소기업을 선별하여 기술혁신을 통해 스케일업(Scale-Up)을 지원하는 중기부 대표 기술개발(R&D) 사업으로, 매출액 20억 이상의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한 ‘민간투자연계형’ 과제는 최근 3년간 5억원 이상의 민간투자를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역량이 있는 기업을 선별하여 2년간 최대 6억원까지 기술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이미 민간투자를 지원받은 중소기업이 참여 대상이라는 점에서 다른 기술개발(R&D) 사업과는 차별성이 있다.
 
선정된 과제*의 특징을 살펴보면 민간의 투자가 집중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생명공학(바이오)·의료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 선정분야 : (ICT) 11개(44.0%), (바이오) 8개(32.0%), (반도체‧이차전지) 2개(8.0%) 등
 
미래성장 가치가 유망한 이차전지, 전기·수소차 등 초격차 기술 분야*가 뒤를 이어 민간 시장에서의 투자관심 분야를 짐작할 수 있다.
    * 초격차 기술 분야 : 반도체, 미래차, 에너지, 디스플레이 등 글로벌 기술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 기술 분야
 
특히, 올해는 지역거점 혁신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기술개발(R&D) 자금 지원의 지역편차를 대폭 줄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 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의 선정 비율이 대폭 증가(‘21상. 25% → ’22상. 48%)하여 수도권 편중 지원에 대한 우려가 일부 해소되면서 지역 기술유망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 참여기회가 확대되었다.
 
‘민간투자연계형’ 과제는 ‘20년부터 시행되었으며, 당시 선정된 기업의 경우 정부출연금의 약 5배(1억원당 5.25억원)에 달하는 후속 투자를 유치하였고,
 
그 중 7개사는 기술개발 기간 내 코스닥에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 및 기술특례 상장 등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중기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시장에서 선검증을 받은 중소기업을 정부가 후속 지원함에 따라 정부 기술개발(R&D) 지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붙임1│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개요
│붙임2│ 기술혁신 R&D 시장확대형[민간투자] 개요
│붙임3│ 기술혁신 R&D 시장확대형[민간투자] 선정 현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