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제4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개최
- 등록일2022-06-24
- 조회수1094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6-2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치유농업#과학기술예측조사
- 첨부파일
제4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개최
-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안) 등 심의·의결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6월 23일 제4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이하 ‘운영위원회’)를 개최하여, 「제1차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 2022년도 시행계획(안)」,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안)」, 「2022년도 상반기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결과(안)」,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안)」을 확정하였다.
※ 운영위원회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근거한 과학기술 정책 최고 심의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의 산하 위원회로서, 심의회의 안건의 사전검토, 위임안건의 심의 등을 수행하며, 위원장(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및 19개 부처 정부위원 20명, 민간위원 11명 등 총 32명으로 구성됨
□ 이번에 상정된 안건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제1차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 2022년도 시행계획】
□ 농촌진흥청은 국민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수립한 「제1차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22~’26)」의 실효적 이행을 위해 2022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 2022년도 시행계획의 4대 중점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ㅇ 첫째, 치유농업 자원발굴·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및 원리구명 연구 등 전략적 연구개발 및 과학적 효과검증을 강화한다.
ㅇ 둘째, 중앙·광역 거점기관 구축, 개발한 기술의 보급과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등 연구성과 확산을 위한 거점구축 및 기술보급을 추진한다.
ㅇ 셋째, 치유농업 실태조사와 정보망 구축, 범부처 거버넌스를 위한 협업체계, 법제도 기반 연구 등 대국민 정보제공 및 기반구축을 추진해 나간다.
ㅇ 넷째, 치유농업 서비스 품질향상 및 치유농업 기술의 현장실용화 기반 구축, 대국민 인지도 제고 등 품질관리 체계화 및 사업화를 촉진한다.
②【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
□ 과기정통부는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향후 25년 내 미래사회를 전망하고 경제·사회적으로 파급력이 큰 미래기술을 예측·조사하여 과학기술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과학기술기본법 제13조」에 따라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안)」을 보고하였다.
□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향후 25년 내 도래할 5대 메가트랜드*, 12개 트랜드와 그에 따른 62개 주요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45년까지 실현할 수 있는 241개 미래기술을 전문가 간 상호토론 통해 최종 선정하였다.
* 사회·기술·경제·환경·정치 등에서 일어나는 거시적인 변화와 장기적인 추세
ㅇ 이번 예측조사에서 선정된 241개 미래기술 대상으로 ①실현시기, ②기술특성, ③실현방법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미래기술 241개 중 228개(94.6%)가 2026년부터 2040년까지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또한, 평균적인 혁신성과 불확실성은 각각 4.24점과 3.33점으로 제시하였고, 혁신성과 불확실성 모두 평균보다 높아 국가 관심이 필요한 기술은 73개로 나타났다.
- 다음으로 미래기술 실현을 위해 연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부정책은 인프라 구축(25.5%), 연구비 확대(24.6%), 협력 활성화(22.6%), 인력 양성(17.1%), 제도 개선(10.2%) 순으로 나타났다.
ㅇ 또한, 미래기술 대상으로 44개 미래혁신기술 후보군* 발굴하고 전문가 설문조사와 최종 검토를 통해 15개 미래혁신기술을 도출하였다.
* 241개 미래기술 토대로 그룹핑 및 국내외 미래유망기술 비교·검토하여 44개 미래혁신기술 후보군 도출(KISTEP 실시)
- 미래혁신기술이란 241개 미래기술 중 기술확산점을 넘어서 주류시장으로 확산 가능한 기술로서, 모두 미국에서 가장 먼저 기술확산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나아가며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점
- 우리나라 경우, 미국과 비교적 격차가 적은 미래혁신기술은 수소에너지, 초개인화된 인공지능, 인공지능반도체, 자율작업로봇으로 나타났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