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데이터 기반으로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도약 추진
- 등록일2022-06-27
- 조회수1046
- 분류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발간일
2022-06-27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디지털헬스#보건의료데이터#K-CURE
- 첨부파일
데이터 기반으로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도약 추진
- 제1차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 개최(6.27.) -
- 의료 마이데이터, 디지털 헬스케어, 빅데이터 개방 등 국정과제 신속 추진 -
□ 보건복지부는 6월 27일(월) 14시 30분부터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차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는 의료정보 및 보건의료데이터 정책 추진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로,
-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위원장으로 바이오·디지털헬스 정책을 담당하는 보건산업정책국장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20명을 위원으로 위촉하였으며,
* 의료계, 연구계, 학계, 법률‧윤리계, 환자‧사용자단체, 보건산업계, 공공기관
- 동 위원회를 통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신뢰를 기반으로 주요 정책 방향 등을 결정한다.
□ 이날 회의는 제1기(‘22.6~’24.6)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 구성 후 첫 회의로서,
○ 위원장인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 주재로 ▴디지털헬스케어 정책 방향, ▴임상데이터 네트워크(K-CURE*) 사업 추진계획, ▴의료 마이데이터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orea-Clinical data Utilization network for Research Excellence :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공공기관 등에 분산된 정보를 환자 중심으로 연계 및 개방
□ 이번 위원회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헬스케어 정책 방향 >
□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와 함께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이 공급자‧치료 중심에서 환자‧예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 의료서비스 패러다임 전환 >
과거‧현재 |
| 미 래 |
치료 중심 | ⇨ | 예방‧건강관리 중심 |
공급자 중심 | 수요자(환자) 중심 | |
의료 투입량에 주목 | 의료 결과에 주목 | |
분절적 의료 제공 | 상호협력적 의료 연계 | |
ICT 기반 업무 자동화 | AI‧빅데이터 활용 맞춤형 서비스 제공 |
○ 해외 주요 선진국은 이미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을 위해 법‧제도를 정비*하고 국가 차원의 ‘디지털헬스 혁신 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한 바 있다.
* (美) 21세기 치료법, (日) 차세대의료기반법, (獨) 디지털헬스케어육성법(DVG) 등
○ 우리나라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 정책 추진을 통해 고령화 등 사회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국가적 신산업의 근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