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영양성분데이터 표준화해 6월 4만 6천건 개방, 디지털헬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확산 기대

  • 등록일2022-06-30
  • 조회수949
  • 분류제품 > 바이오식품,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발간일
    2022-06-30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헬스#영양성분데이터#식품영양성분 통합데이터베이스
  • 첨부파일
    • hwp 29-4_ (관계부처합동) 영양성분데이터 표준화해 6월 4만 6천건 ... (다운로드 5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영양성분데이터 표준화해 6월 4만 6천건 개방, 디지털헬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확산 기대



□ 정부는 각 부처*에서 각각 생산‧관리하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국민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표준**에 맞춰 동일한 항목과 형식으로 묶어서 정비한 ‘식품영양성분 통합데이터베이스(이하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합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등 4개 부처


**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제26조(제공표준)에 따라 민간의 활용 수요 등을 고려해 데이터 형식을 표준화해 제공


ㅇ 이번에 개방하는 통합데이터베이스는 ▲원재료성 식품(농‧축‧수산물) ▲가공식품(상용제품) ▲음식(외식‧프랜차이즈 조리식품) ▲통합식품(원재료성식품+가공식품+음식)으로 약 4만 6천건 식품*에 대한 영양성분(최대 24개), 식품분류체계, 데이터 출처, 생성일자 등 정보를 제공합니다.


* ①식품원재료 약 2,200개(농축임산물 1,800개, 수산물 400개) ②가공식품 약 4만2,600개 ③음식 약 1,300개 등

식품영양성분 통합데이터베이스


ㅇ 정부는 오는 12월까지 식품코드 등을 정비하고 데이터를 추가(1만 4천개)로 확충해 총 6만개(누적)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개방할 계획입니다.



□ 통합데이터베이스 개방은 품질 높은 공공데이터를 수요자가 활용하기 쉽도록 표준을 제시하기 위해 정부 부처가 긴밀하게 협의해 마련한 공공데이터 표준화 정책의 선도 사례입니다.


ㅇ 최근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적용·융합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다양한 분야(급식, 스마트 가전 등)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정부에서 생산·관리하는 데이터의 형식이 기관별로 상이해 연계·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요자가 추가로 가공·정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부처별로 생산한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제공 항목, 표기 형식 등이 다르고 중복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정비 비용 발생


ㅇ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년 6월 부처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산업계와 학계가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했습니다.


- 그 결과, 지난 4월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항목, 표기형식, 분류체계 등을 확정해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제공표준으로 제정하고 각 부처의 보유 데이터를 전면 정비*해 통합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습니다.


* 기존 데이터 중복·오류값 삭제, 최신 데이터로 현행화, 분류체계 정비 및 코드 부여 등



□ 정부는 앞으로도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생산‧제공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해 다양한 분야에서 가치 있게 활용되도록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할 것입니다.


ㅇ 통합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칭)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 공동 운영 규정’을 제정하고, 공공시스템*과 연계해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생산·활용 주체가 유기적으로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어린이식단작성프로그램(식약처), 나이스 학교급식시스템(교육부), 공공급식플랫폼(농식품부) 등


ㅇ 또한 수요가 있는 식품영양성분 데이터 현황을 파악해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 표준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계획입니다.



□ 정부는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구축‧개방함으로써 국민의 영양관리는 물론 디지털 헬스, 푸드테크 등 관련 산업 등에서도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ㅇ 통합데이터베이스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누구나 파일을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고, 오픈 API로도 제공됩니다.


* 오픈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버스정보·날씨정보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값이 변경되는 데이터를 웹/앱 프로그램 개발 등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붙임│ 1. 식품영양성분 통합데이터베이스 소개

│붙임│ 2. 부처별 담당자, 연락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