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식약처, 신종마약류 선제적 관리·대응 방안 논의

  • 등록일2022-07-06
  • 조회수1107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외품・화장품・위생용품 안전관리기술
  • 발간일
    2022-07-06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약 관리
  • 첨부파일

식약처, 신종마약류 선제적 관리·대응 방안 논의

- ‘국내외 신종 마약류 현황 및 대응방안 심포지엄’ 개최… 해외 마약류 규제전문가 참석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최근 젊은 층의 마약류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신종마약류에 대한 국내외 현황을 공유하고 선제적 관리·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22 국내외 신종마약류 현황 및 국가별 대응 방안 심포지엄’을 7월 7일 개최합니다.


* ’21년 20∼30대 마약사범 56.8% 차지, 19세 이하 450명으로 전년(313명) 대비 43.8%가 증가


ㅇ 주요 논의 내용은 ▲마약류 지정을 위한 과학적 평가 방법 ▲국내 신종마약류 최신동향 ▲신종마약류 탐지 분석법 ▲마약 범죄 수사를 위한 모발 검사 ▲이탈리아, 벨기에에서 증가하는 신종마약류 현황과 대응 방안 등입니다.


□ 심포지엄에서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 파스칼 킨츠(Pascal Kintz) 법의학 교수 등 해외 마약 규제 전문가와 국내 대검찰청, 국세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마약류 안전관리 담당자가 참석해 마약 관리 대응 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합니다.


ㅇ 이번 심포지엄은 사전에 등록하면 누구나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국제 심포지엄 참여 방법

• 7월 6일 18시까지 사전등록  신청 이메일로 접속 URL 주소 발송 →︎ 온라인 생방송 심포지엄 참석

※ 사전등록 신청 주소 : https://forms.gle/BCqwbDCxN88QquJn8 또는 QR코드 접속 



□ 식약처는 이번 국제 심포지엄이 우리나라의 마약류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규제과학 전문성을 바탕으로 해외 마약 규제기관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신종마약류 안전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