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학계·연구계, 새 정부 디지털 정책 방향과 미래 변화상 모색
- 등록일2022-07-06
- 조회수1121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7-0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정책 #디지털 재전환
- 첨부파일
학계·연구계, 새 정부 디지털 정책 방향과 미래 변화상 모색
- 과기정통부, 정치‧행정‧사회‧정보통신정책 등 10개 학회,
연구기관과 제1회「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 협의회」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박윤규 2차관은 7.5(화), 엘타워에서 제1회「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협의회」(이하, 연구협의회)를 개최했다.
○ 이번 회의는 중장기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각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미래전망 연구 현황과 내용을 공유하고, 현재 수립 중인「디지털 국가전략」등 디지털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학계와 연구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간담회에는 10개 학회* 학회장을 비롯하여, 미래전망 연구를 수행 중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등 6개 연구기관이 참석하였다.
* 한국통신학회, 한국정보과학회, 대한전자공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경영학회, 한국정치학회,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 한국사회학회, 한국환경정책학회
□ 이번「연구협의회」는 그간 학계와 연구계가 개별적으로 추진하던 미래전망 연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 연계·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올해 처음 발족했다.
○ 대표적인 미래전망 연구인「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연구는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이 정보통신 분야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사회에 미칠 거시적인 영향을 전망하고 대응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년부터 추진되었으며, 정치‧행정‧사회‧정보통신정책 등 8개 주요 학회가 참여했다.
- 올해는 참여 학회를 10개로 확대하고, 학계·연구계의 유기적인 협력을 위해 연구기관도 포함하여 「연구협의회」를 구성·운영하게 되었다.
- 연구기관은 디지털 혁신(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유망기술 및 미래 시나리오(정보통신기획평가원),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보호(한국인터넷진흥원), 소프트웨어산업(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등 분야별 연구를 수행 중이다.
□ 이번 회의에서는 새 정부 디지털 국가비전인‘디지털 경제 패권국가’실현을 위해 중장기 추진전략과 범정부 실행과제를 종합하여 금년 내 수립 예정인「디지털 국가전략」의 추진 방향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그간 디지털 주요 분야별로 산업계 간담회 등 민간의 의견을 수렴해왔다.
□ 과기정통부 박윤규 2차관은“올해 수행하는 미래전망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우리가 나아가야 바람직한 미래상에 대해 중장기적 방향성을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새 정부 디지털 정책 수립의 밑거름이 된다”고 하며,
○“학계와 연구계가 함께 협력하여 연구하면서 디지털 전환이 우리 경제·사회에 미칠 영향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전망하고, 정책적인 제안사항을 도출해달라”고 당부했다.
붙임 : 제1차「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협의회」개요 1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