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새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 업무보고
- 등록일2022-07-13
- 조회수1150
- 분류기타 > 기타
-
발간일
2022-07-12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새정부 #정책방향
- 첨부파일
「새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 업무보고
- ❶성장지향 산업전략, ❷국익·실용 중심 통상전략, ❸에너지공급·수요 혁신전략 등
3대 전략‧11대 핵심과제 집중 추진
1. 성장지향 산업전략 |
➀ (민간투자 활성화) 규제혁신, 기반시설 국비지원, 산단‘네거티브 존’확대 등 ➁ (혁신시스템 고도화) 산업 R&D 메가 임팩트 프로젝트 10개 추진,
➂ (성장사다리 복원) 성장역행적 지원체계 개선, 중견기업펀드 4,000억원 조성 ➃ (산업대전환 가속화) 반도체를 시작으로 업종별 전략 순차 발표 |
2. 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 |
➄ (공급망연계형 통상) 양자채널 활용, 국가별 맞춤형 협력으로 공급망 재편 대응 ➅ (첨단산업혁신형 통상) 첨단 지식·인력 교류 확대, 정상회담 후속 성과 창출* * 한미 공급망‧산업협력대화 본격화 등 ➆ (그린·디지털 통상) 환경 규범화에 적극 대응, 디지털 통상 네트워크 확대 ➇ (국제사회기여 통상) 개도국 난제 해결 참여 및 산업성장 경험 전수 |
3. 에너지 공급 및 수요 부문 혁신과 신산업 창출 |
➈ (원전역할 강화) 신한울 3‧4 환평과 사전제작 최대한 앞당겨 ’24년 건설 추진,
➉ (수요 효율화) 에너지캐쉬백 전국 확대 등 수요정책 강화 (신성장동력 창출) 에너지혁신벤처기업 5,000개 육성, 5,000억원 수소펀드 조성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7.12.(화) 새정부 업무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함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새정부 5년간 ➊성장지향 산업전략, ➋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 ➌에너지 수요·공급부문 혁신과 신산업 창출 등 3대 전략과 11개 핵심과제를 집중 추진할 계획
【 새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 주요내용 】
1. 「성장지향 산업전략」을 통한 산업의 대전환 추진
□ (민간투자 활성화) 규제개선, 투자 인센티브, 입지 개선 등 투자 활성화 3종 세트를 강화하여 투자가 주도하는 성장 실현
ㅇ (규제혁신) 규제에 발목잡힌 기업 투자 프로젝트 53건(337조원) 등 프로젝트 기반의 규제혁신 신속 추진
- 26건(66조원) 투자애로는 기 해소*, 27건(271조원) 잔여과제는 「경제 규제혁신 TF」에서 해결방안 마련 추진(상세내용 별첨)
* A사(화학) 산단입주 허용, B사(이차전지) 농업진흥지역 신속해제,C사(조선) 용접용로봇 안전성 기준 마련 및 울타리 규제완화 등
ㅇ (인센티브) 신성장‧원천기술, 국가전략기술 등 투자세액공제 적용대상 세부 기술을 지속 확대하고,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 국비지원 추진
ㅇ (입지지원) 모든 업종 입주가 가능*한 산업단지 ‘네거티브 존’ 비율을 상향(30→50%)하고, 기존 업종제한도 주기적으로 재검토
* 단, 도박업, 농업, 건설업 등 일부 제외
□ (혁신시스템 고도화) 산업 R&D체계와 교육체계를 혁신하여 기술과 인재가 주도하는 혁신성장 추진
ㅇ (산업R&D) 파괴적·도전적 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시장창출과 경제·사회난제 해결이 가능한 목표지향형 메가 임팩트 프로젝트(5년간 10개)를 추진
* ①산업별 최고권위자 중심의 혁신과제 도출, ②경쟁형 방식으로 성과 극대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