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바이오 데이터 공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데이터 확보·관리·활용 가이드라인(안) 시범 운용

  • 등록일2022-07-21
  • 조회수1203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7-21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데이터#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
  • 첨부파일
    • hwpx 220721 석간 (보도) 생명연구자원 표준 가이드라인 간담회_.hwp... (다운로드 7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바이오 데이터 공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데이터 확보·관리·활용 가이드라인(안) 시범 운용

- 바이오 데이터 전(全)주기 가이드라인(안)의 실효적 시범운용을 위한 간담회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바이오 데이터 공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수립한 「생명연구자원(바이오 연구데이터) 확보·관리 및 활용 표준 가이드라인(이하, 가이드라인(안))」의 시범운용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ㅇ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20.7월)을 수립하고, 바이오 연구데이터*를 통합 수집‧관리하여 활용되도록 데이터 플랫폼(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K-BDS**)을 구축하며 시범운영(’21.10~)하고 있다,


* 생화학분석, 이미지(영상), 임상 및 전임상, 오믹스, 분자구조, 표현형 정보 등


** Korea - Bio Data Station(http://kbds.re.kr)


ㅇ 가이드라인(안)은 과기정통부가 바이오 분야 연구자, 관계부처,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데이터 센터 등과 함께 마련하였으며, 과기정통부 소관 일부 사업에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 가이드라인(안)은 제1부에 가이드라인 총론(개요, 연구데이터 정의 및 범위, 데이터 확보관리 체계), 제2부에 단계별(과제 기획/협약/평가 → 데이터 생산 → 확보 → 관리 → 제공(신청) → 활용) 절차, 이행주체별 역할과 준수 사항을 수록하고 있다.


ㅇ 가이드라인(안)의 적용범위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지원하는 바이오 연구개발사업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이며,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통합적 확보·관리 및 활용을 위해 데이터 전(全)주기** 단계에 걸친 표준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 연구자가 제출한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에 따라 생산된 데이터 중 연구개발성과(논문, 특허 및 보고서 등)에 사용되는 핵심 데이터(실험데이터 및 연구데이터)


** 데이터 생산·수집/기탁/등록·관리·제공·활용, 과제 공고/평가


< 바이오 연구 데이터 전주기 단계별 확보·관리 범위 >

바이오 연구 데이터 전주기 단계별 확보·관리 범위


ㅇ 주요 내용으로는 가이드라인(안)의 이행 주체*별 이행 사항과 연구개발성과의 공개 시점 등을 포함한다.


* 관계 중앙행정기관, 연구관리 전문기관, 데이터 관리기관, 연구개발기관(연구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