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해양생물로부터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이 나온다

  • 등록일2022-07-26
  • 조회수1223
  • 분류그린바이오 > 해양수산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발간일
    2022-07-25
  • 출처
    해양수산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양생물#건강기능식품#해양바이오뱅크
  • 첨부파일
    • hwpx 220726(조간) 해양생물로부터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이 나온다... (다운로드 6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해양생물로부터 체지방감소 건강기능식품이 나온다

- 해양바이오뱅크 해양생명소재 산업화를 위해 기업과 공동연구 착수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관장 최완현)은 체지방 감소효능이 있는 해양바이오 원료소재를 산업화하기 위해 민간기업 등과 공동연구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2018년부터 민간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해양생명자원으로부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제품개발에 필요한 원료소재를 발굴·제공하는 해양바이오뱅크를 운영해 오고 있다.


해양바이오뱅크는 현재까지 항암, 항균, 항산화 등 13,399건의 해양바이오 소재를 발굴하고 875건 5,681점의 소재를 산·학·연 연구자에게 분양하였다. 또한 소재 품질관리 분야에서 국제표준화기구의 인증을 받아 국제적으로도 소재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간 해양바이오뱅크의 역할이 기업 등 연구자에게 해양생명소재를 소개·제공하는 기능에 국한되어, 이를 이용한 산업적 성과 창출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해수부는 해양바이오 소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산업화하기 위한 “해양바이오뱅크 활성화 방안” * 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


* 소재 발굴 및 정보고도화, 기업 공동연구, 해양바이오뱅크 운영 활성화 등(‘21.3)


이번 공동연구는 해양생명자원의 수집·보존·연구기관인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기술출자 기업이자 친환경 미세조류 원료생산 기업인 ㈜마이크로알지에스크어스가 공동참여하여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카로테노이드 * ’ 성분이 함유된 국산 해양미세조류에서 체지방감소 원료 소재를 개발하고 관련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미생물 및 미세조류 등에서 생산하는 천연색소로 체지방감소, 항산화, 항염증 등에 효과


이를 위해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미세조류 체지방감소 유효성분 확인 ▲비임상 안전성 평가, ▲인체적용시험 등을 추진하고, ㈜마이크로알지에스크어스는 ▲미세조류(원료)의 대량생산, ▲원료 표준화 및 표준원료의 유효성 평가 ▲표준원료 생산공정 확립 등 상호 역할을 분담하여 체계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코로나-19 감염증 등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5조 원대로 성장했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국산 해양미세조류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이 상용화된다면 수입 제품을 대체하는 등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홍종욱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은 “바다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인류에게유용한 소재가 무궁무진하다.”라며 “해양생명자원으로부터 소재를 지속 발굴하고 기업과 공동연구를 통해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