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올해 상반기 자외선차단·두발용 기능성화장품 개발 증가

  • 등록일2022-08-02
  • 조회수1055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외품・화장품・위생용품 안전관리기술
  • 발간일
    2022-08-02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기능성화장품
  • 첨부파일
    • hwpx 8.2.+올해+상반기+자외선차단·두발용+기능성화장품+개발+증가.h... (다운로드 6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올해 상반기 자외선차단·두발용 기능성화장품 개발 증가

- 식약처, 2022년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 통계자료 공개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화장품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 품목 통계자료’를 공개했습니다.


ㅇ 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로 본 주요 내용은 ▲자외선차단·두발용 제품개발 증가 ▲피부장벽 기능개선 화장품 등 신규 개발 증가 ▲전체 품목 중 약 93%가 국내 제조 제품 ▲작년 상반기 대비 품목 수 2.5% 증가입니다.


1 자외선차단용제품, 두발용제품류 개발 증가


ㅇ 기능성화장품 중 자외선차단용제품, 두발용(염모, 탈모완화) 제품류 심사(보고) 품목은 작년 상반기 대비 각각 17.6%, 10.8% 증가했습니다. 반면에 미백·주름개선 이중기능성 제품과 여드름성 피부 완화 제품은 각각 5.5%, 23.8% 감소했습니다.


◈ 자외선차단용 (’21 上) 1,785건 → (’22 上) 2,242건


◈ 두발용(염모, 탈모완화) (’21 上) 2,050건 → (’22 上) 2,272건


◈ 미백 및 주름개선 (’21 上) 5,036건 → (’22 上) 4,759건


◈ 여드름성 피부완화 (’21 上) 201건 → (’22 上) 153건


2 피부장벽 기능개선 화장품 등 신규 개발 증가


ㅇ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은 2021년 식약처가 ‘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을 마련·배포한 후 제품개발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21.6 발간)


- 아울러 신규 주성분을 활용한 제품 개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피부장벽 기능회복 (’21년 上) 0건 → (’21년 下) 3건 → (’22년 上) 3건


◈ 신규 주성분 (’21년 上) 1건 → (’21년 下) 4건 → (’22년 上) 9건


3 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 품목 중 국내 제품 93% 차지


ㅇ 올해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 중 국내 제조 품목 수는 8,783건, 수입 품목은 664건으로 국내 제조 품목 비중이 93%로 확인됐습니다. 작년 상반기 90.9%(국내 8,378건, 수입 836건), 하반기 92.9%(국내 7,098건, 수입 544건)에 이어 국내 제조 품목 비중이 90% 이상을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 국내 제조 품목 비중


(’21 上) 90.9%(국내 8,378건, 수입 836건) → (’22 上) 93.0%(국내 8,783건, 수입 664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