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감기약의 원활한 공급 위해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 운영
- 등록일2022-08-04
- 조회수1087
- 분류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22-08-04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소량포장 의약품 공급 안내 시스템
- 첨부파일
감기약의 원활한 공급 위해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 운영
- 해열진통제, 기침·가래약… 코로나19 확진자 수 대비 공급 원활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감기약*의 수급이 특정 품목 또는 일부 지역 약국에서 불균형한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을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함께 구축하고 8월 8일부터 운영합니다.
* (대상) 해열진통제(성인·소아, 고형·시럽제), 기침·가래약(성인·소아, 고형·시럽제)
ㅇ 식약처가 감기약의 수급 현황(7.18. ~ 31.)을 모니터링*한 결과, 수요량 대비 생산·수입량과 재고량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공급되고 있으며, 이번에 감기약을 일선 약국에서 보다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을 마련했습니다.
* (감기약 수급 현황 모니터링) 올해 3월 시작해 7월 초에 중단했으나, 8월 1일 모니터링 재개(2주마다 보고일 기준으로 지난 2주간 실적을 보고)
1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운영
ㅇ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은 신속한 시스템의 구축·운영을 위해 현재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운영 중인 ‘소량포장 의약품 공급 안내 시스템*’(sosdrug.com)을 활용합니다.
* 약국에서 소포장 의약품의 공급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품목의 제약업체에서 공급 일정을 안내하는 시스템
ㅇ 대한약사회는 공급이 불안정하다고 파악한 감기약 10개 품목을 매주 선정하고, 식약처는 해당 품목을 포함해 동일한 성분 제제 목록을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거쳐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에 입력합니다.
* 매주 10개 품목으로 8.8.부터 시작해 향후 필요시 품목 개수 확대 검토
- 제약업체는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에서 제품 목록을 확인해 자사의 해당 제품 재고 현황에 따라 ‘공급 가능 여부’를 입력합니다.
- 약국은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에서 제약업체가 ‘공급 가능’으로 입력한 품목 목록*을 확인해 필요한 감기약을 거래 도매상 등에 공급을 요청합니다.
* 대한약사회가 요청한 10개 품목 또는 동일 성분제제
2 감기약 수급 현황(7.18. ~ 31.) 모니터링 결과 공급 충분
ㅇ 식약처는 181개 의약품 제조·수입업체가 생산·수입하는 감기약 1,839개 품목의 수급 현황을 조사했으며, 지난 2주간(7.18. ~ 7.31.) 1,159개 품목(168개사)이 생산·수입돼 유통 중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 모니터링 결과 주간 감기약 생산·수입량, 출하량, 재고량으로부터 산출된 각각의 치료 가능 환자 수는 지난 1주간(7.25~7.31)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수(약 57만명)와 비교했을 때 공급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