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감염 취약시설 집단발생 사례분석을 통한 감염 확산 관리방안 마련

  • 등록일2022-08-11
  • 조회수1129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 발간일
    2022-08-10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감염 확산 관리방안
  • 첨부파일
    • hwpx [보도참고자료]_감염_취약시설_집단발생_사례분석을_통한_감염확... (다운로드 5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감염 취약시설 집단발생 사례분석을 통한 감염 확산 관리방안 마련


◈ 감염 취약시설 집단발생 사례분석을 통한 감염 확산 관리방안 마련


- 집단 감염사례(’20~’21년) 분석 결과, 감염 취약시설 자체 역량 강화 및 인식 제고, 예방적 차원의 시설·환경 개선, 유기적 대응체계 구축 등이 감염 확산 차단의 주요한 요인


- 향후 우수사례의 핵심사항을 정책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각 감염 취약시설에 동 사례들을 전파하여 감염 확산 관리방안 마련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한덕수)는 오늘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 이기일)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감염 취약시설 집단발생 사례분석을 통한 감염 확산 관리방안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 복지부 별도 보도참고자료 배포 예정(8.10.)


1. 감염 취약시설 집단발생 사례분석을 통한 감염 확산 관리방안 마련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으로부터 ‘감염 취약시설 집단발생 사례분석을 통한 감염 확산 관리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1년 중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있었던 요양·정신병원에 대한 대응사례와 개선사례를 분석*하였다.


* 상세내용은 질병관리청 정례브리핑 및 보도자료 배포 예정(8.11.)


○ 집단감염이 발생한 병원의 대응 우수사례를 분석한 결과, 평상시 감염관리자가 지정되어 있었으며, 병상 간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고, 확진자 발생 시에는 다인병실 내 물리적 격벽 설치, 확진·비확진자 동선 구분을 철저히 하여 추가 확진자를 최소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개선사례의 경우 병실 규모(입원실 설치 병상수) 축소, 자연·기계 환기를 통한 공기 순환, 병원 내 모든 부서가 참여하는 모의훈련 실시 등을 통해 감염관리 방안을 체계화하여 추가적인 집단감염을 차단할 수 있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요양·정신병원의 자체적인 감염관리 역량 강화와 인식 제고, 예방적 차원의 시설·환경 개선, 유기적 대응체계 구축 등이 감염확산 차단의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면서,


○ 각 감염 취약시설에서는 감염관리 우수사례 등을 참고하여 감염 확산 관리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상황별 모의훈련 실시, 간병인 등 대상 감염관리 교육을 통해 병원·시설별 자체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감염 취약시설 대상 심층 모니터링 실시 등을 통해 대응체계 구축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2.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8월 9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전일 대비 344병상이 증가한 6,976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37.8%, 준-중증병상 58.1%, 중등증병상 44.8%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11.2%이다.


< 8.9. 17시 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무증상·경증(輕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전국

1,760

665

1,095

2,916

1,694

1,222

2,184

979

1,205

116

13

103

(+67)

(37.8)

(+53)

(+272)

(58.1)

(+141)

(+5)

(44.8)

(+1)

(+0)

(11.2)

(+1)

수도권

1,218

443

775

1,968

1,238

730

1,040

479

561

116

13

103

(+33)

(36.4)

(+36)

(+176)

(62.9)

(+84)

(+0)

(46.1)

(+26)

(+0)

(11.2)

(+1)

 

중수본

-

-

-

-

-

-

-

-

-

116

13

103

서울

244

94

150

373

246

127

268

111

157

0

0

0

경기

620

233

387

1,041

694

347

421

187

234

0

0

0

인천

354

116

238

554

298

256

351

181

170

0

0

0

비수도권

542

222

320

948

456

492

1,144

500

644

0

0

0

(+34)

(41.0)

(+17)

(+96)

(48.1)

(+57)

(+5)

(43.7)

(-25)

(+0)

(0)

(+0)

 

중수본

0

0

0

0

0

0

0

0

0

0

0

0

강원

46

19

27

39

18

21

74

29

45

-

-

-

충청권

105

53

52

179

74

105

451

159

292

0

0

0

호남권

147

57

90

232

132

100

263

158

105

0

0

0

경북권

88

35

53

165

109

56

127

47

80

0

0

0

경남권

134

55

79

299

117

182

187

96

91

0

0

0

제주

22

3

19

34

6

28

42

11

31

-

-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