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질병관리청,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분리 성공·유전정보 공개 (8.17.)
- 등록일2022-08-17
- 조회수1402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
발간일
2022-08-17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원숭이두창#원숭이두창 유전정보
- 첨부파일
질병관리청,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분리 성공·유전정보 공개 (8.17.)
- 진단제, 치료제, 백신 등 연구개발에 활용 가능 -
□ 국내 원숭이두창 첫 양성 환자 검체로부터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분리·배양 성공
□ 국내 분리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염기서열분석 및 유전정보 공개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원숭이두창 첫 양성 환자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하는 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한국 분리주 이름: MPXV-ROK-P1-2022
□ 질병관리청은 환자 검체(피부병변액)를 베로세포*에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증식을 확인하였으며 바이러스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분리를 입증하였다.
* 베로세포: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상피세포
○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바이러스 유전정보에 따르면, 분리된 바이러스는 현재 유럽과 미주에서 유행하고 있는 서아프리카형(B.1.1 클레이드) 바이러스 염기서열과 높은 상동성(99.87~99.99%)을 확인하였다.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국내분리주의 염기서열 정보는 국제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진뱅크(GenBank)*에 등록**되어 국내외 연구자들이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진뱅크: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생물기술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에서 운영하는 국제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 진뱅크 등록 번호: OP204857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분리된 바이러스는 진단제, 치료제, 백신 개발을 위한 필수 자원으로 연구개발에 활용되도록, 유관부처와 적합한 자격을 갖춘 기관에 분양하겠다”고 밝혔다.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배양 및 취급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대응 실험실 생물안전 가이드(질병관리청 2022.6.16.)’ 사항을 반드시 준수
<붙임> 1.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한국분리주 유전체 계통 분석
2.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한국분리주 전자현미경 사진
3. 원숭이두창 질병 개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