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당뇨병성신장질환의 치료 길 열어!
- 등록일2022-09-01
- 조회수1065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2-09-01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당뇨병성신장질환
- 첨부파일
당뇨병성신장질환의 치료 길 열어!
- 젖산유도단백질 발현·활성 억제로 신장 섬유화 개선 -
주요 내용 □ 만성신장질환의 주요 원인 질환이 당뇨병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발생 원인과 예방·치료 지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음. □ 이번 연구를 통해, 당 대사이상에 의한 젖산(Lactate) 증가 및 젖산산증(Lactic acidosis) 발생이 신장섬유화와 사구체 신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임을 밝혔으며, ○ 당뇨병성신장질환자에서 젖산 배출(소변)과 젖산유도단백질A(LDHA) 발현(신장조직) 증가를 확인함. ○ 요로젖산 배출 증가는 신기능 저하와 일치함.
□ 당뇨병성신장질환 실험모델에서, 젖산 대사체 증가와 신장 섬유화 작용기전을 확인함. ○ 젖산유도단백질A 발현과 젖산산증 억제조절로 신장 섬유화 및 신기능 저하를 개선함. □ 또한 당뇨병성신장질환 발생을 조기에 예측·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써 젖산산증의 역할과, 젖산생성 억제로 신장섬유화와 신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개선시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함. * 바이오마커(bio-marker) : 단백질이나 DNA, RNA(리복핵산), 대사 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
□ 질병관리청(백경란 청장) 국립보건연구원(권준욱 원장)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당뇨병과 고혈압의 주요 합병증인 신장질환 발생을 조기에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인 당뇨병성 신장질환(DKD)** 환자들의 임상정보·자원을 활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연구팀 구성원 : 심혈관질환연구과 이대연, 김지연 박사 등
** 당뇨병성 신장질환(Diabetic Kidney Disease, DKD) 설명 (붙임 1 참고)
○ 이번 연구로 당뇨병성 신장질환 환자의 신장 조직에서 과도한 젖산(Lactate) 생성에 의한 젖산산증(Lactic Acidosis)*의 발생이, 신장기능 저하 지표인 섬유화(Fibrosis)** 증가와 사구체 여과율(eGFR)*** 감소의 주요 원인임을 밝혔으며,
- 젖산유도단백질 A(LDHA)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젖산산증에 의한 신장 섬유화로 인한 신기능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젖산산증: 몸에서 젖산 농도가 4 mmol/L 이상 또는 혈액 pH 7.35 이하인 경우
** 신장섬유화(Fibrosis): 조직 내 섬유질 결합조직(세포외기질) 성분들의 과도한 축적과 침착으로 조직 일부가 딱딱하게 굳어지는 현상(세뇨관간질 섬유증과 사구체 경화증)
***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신장이 1분 동안 특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혈액량으로 정의되며, 신장기능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표
○ 연구 결과는 임상의학(Clinical Medicine) 분야 국제학술지인 ‘중개연구 (Translational Research, 영향력지수 IF 10.171)’지 ’22년 8월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