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혁신을 묻다”

  • 등록일2022-09-01
  • 조회수1118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8-31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
  • 첨부파일
    • hwpx [8.31.수.행사시작(9시_30분)_이후]_“포스트코로나_시대__바이오... (다운로드 7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혁신을 묻다”

- 혁신적 연구개발(R&D) 체계 구축을 위한 2022 서울바이오이코노미포럼 개최 -

- 미(美) NIH 수석부원장, 영(英) 웰컵립 기금 대표, 일(日) AMED 문샷 프로젝트 책임연구자 등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이 보건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R&D) 혁신 체계 논의 -


□ 보건복지부는 8월 31일(수) 오전 9시 30분 중소기업중앙회(서울 영등포구 소재)에서 “2022 서울바이오이코노미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주최) 보건복지부·서울바이오이코노미포럼 운영위원회(위원장 : 공구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주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차상훈)·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직무대행 김영옥)


○ 2018년 이후 다섯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포럼은 “포스트코로나 세계에서 바이오헬스 분야 돌파구 마련을 가속하는 전환적 혁신 모델*”을 주제로 하여 현장 및 비대면 인터넷 영상회의(webinar)**로 진행한다.


* Transformative Innovation Models to accelerate biomedical breakthroughs for better health in the post-COVID-19 world


** 포럼 누리집(www.seoulbioeconomy.com)에서 온라인 생중계 실시


□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신종 감염병, 고령화, 기후변화 등 새로운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R&D) 혁신체계를 논의하고, 코로나19 이후 세계 각국에서 추진 중인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 연구개발(R&D) 체계를 공유한다.



○ 첫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타라 슈웨츠(Tara A. Schwetz) 미국 국립보건원 수석부원장은 “국립보건원의 혁신과 보건고등연구계획국 설립(Innovating at NIH and Establishing ARPA-H)”을 주제로


- 코로나19 대응, 암 정복 프로그램(cancer moonshot) 등 미국 국립보건원의 혁신적 연구 사례와 보건고등연구계획국(ARPA-H)* 설립 배경을 소개하며,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기술혁신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 (미(美) 보건고등연구계획국) 미(美)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혁신 사례를 바이오헬스 분야에 적용, 전통적 연구 방식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美) 국립보건원(NIH) 내 설치되는 혁신적 연구개발 조직


○ 두 번째 연설자로 나선 아담 러셀(Adam Russell) 미국 국립보건원 부원장은 “보건고등연구계획국의 목표, 임무, 접근법(ARPA-H’s Why, What and How)”을 주제로,


- 현재 보건고등연구계획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보건의료 문제에 대한 원인 분석 및 해결방안 도출의 절차·방법에 대해 발표한다.


○ 세 번째 연설자로 나선 레지나 듀간(Regina Dugan) 영국 웰컴립 기금(Wellcome Leap Fund)* 대표(전(前).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국장)는 “혁신을 위한 사업모형 변화(Changing the business of Breakthroughs)”에 대한 의견을 공유한다.


* (영(英) 웰컴립 기금) 英 웰컴트러스트(Wellcome Trust)가 연구비 또는 벤처투자를 확보하기 어려운 고위험·혁신적 아이디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조성한 기금


○ 네 번째 연설자로 나선 나카니시 마코토(Nakanishi Makoto) 도쿄대학교 교수(현(現).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AMED) 문샷 프로젝트7* 연구책임자(PM))는 “노화세포 제거를 통한 건강수명 확대(Aiming to extend healthy life span by eliminating senescent cells)”라는 제목으로 일본의 혁신 연구 사례를 소개한다.


* (일(日) AMED Moonshot project 7) 주요 질환을 예방·극복하고 100세까지 건강 불안 없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의료·돌봄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개발 계획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