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국가적 이용가치 있는 국가지식정보 4.3억건 지정
- 등록일2022-09-08
- 조회수1062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9-0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지식정보#디지털 집현전
- 첨부파일
국가적 이용가치 있는 국가지식정보 4.3억건 지정
- 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통합플랫폼 연말 시범서비스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적 이용가치가 있는 53개 기관 80개 사이트의 디지털 지식정보, 고신문‧문헌과 같은 비디지털 지식정보 등 약 4억 3천만건(메타데이터 기준)을「국가지식정보 연계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국가지식정보법’)에 따라‘국가지식정보’로 지정한다.
○ 아울러, 국가기관 등이 분산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활용할 수 있는‘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가칭‘디지털 집현전’)을 구축하여, 올 연말부터 1년 간 시범서비스를 거친 후 ’24년 정식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특히, 구글, 네이버 등 검색사이트를 통해서도 원활하게 검색될 수 있도록 사이트를 최적화할 예정이다.
○ 민간 검색플랫폼 연계,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Open API) 개발‧보급 및 중소‧새싹기업 대상 사업화 지원 등 민‧관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국가지식정보 지정(안)」,「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 구축‧운영 계획(안)」등 3개 안건을 8일(목)에 개최된 제2회 국가지식정보위원회*(이하 ‘위원회’)에서 심의‧의결했다.
* 「국가지식정보법」 제8조에 따라 국가지식정보 정책을 심의‧조정하기 위한 법정위원회(위원장 : 과기정통부 장관, 위원 : 11개 중앙행정기관 차관, 민간위원 등 20명 이내)
○ 이번 회의는 국가지식정보 중추기관이자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 연계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개최하였으며, 위원들은 회의 전 인공지능(AI), 확장현실(XR)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실감형 도서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실감서재’전시를 관람하며 디지털로 생동감 있게 구현된 국가지식정보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 국가지식정보 지정은 국가적 가치가 높은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 지난해 12월「국가지식정보법」시행 이후 처음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현황조사와 기관 협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발굴‧지정할 계획이다.
○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은, 제1회 위원회 보고 및 관련 업계‧전문가 의견수렴 결과에 따라 통합플랫폼이라는 단일 창구를 중심으로 분산된 지식정보를 연계‧개방하고 민간 검색사이트에서도 정확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핵심기능에 주력하였다.
○ 이날 위원회에서는 통합플랫폼 시연버전을 시연하여 검색엔진최적화*, 사용자 맞춤형‧지능형 검색 등 주요 기능을 미리 살펴보기도 하였다.
*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 구글 등 검색엔진에서 원하는 검색 정보가 정확하고 높은 빈도로 노출되도록 웹페이지를 최적화하는 방법
□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국가지식정보는 디지털 전환 시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자 핵심 무형자산”이라고 강조하며,
○ “국민 누구나 원하는 국가지식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및 연계기관과 협력하여 효과적인 통합플랫폼 구축에 집중하는 한편, 민간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디지털 집현전을 기반으로 지식정보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제2회 국가지식정보위원회 개최 계획안
2. 국가지식정보위원회 민간위원 명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