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대한민국, 새로운 감염병 대비 국제협력 강화 이끌어

  • 등록일2022-09-13
  • 조회수1015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9-08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GBC
  • 첨부파일

 

 

대한민국, 새로운 감염병 대비 국제협력 강화 이끌어

- ‘제8차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 성황리에 마무리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바이오, 경계를 넘어’를 주제로 지난 9월 5일(월)부터 7일(수)까지 서울에서 개최한 2022년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GBC)가 성황리에 마무리됐습니다.


ㅇ 이번 GBC를 계기로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바이오의약품 최신 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조망함으로써 신종 감염병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관계를 한 단계 높였습니다.


* 총 17개국 바이오의약품 전문가 69명 강연, 학계·산업계 및 규제기관 담당자 4.583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 (백신 포럼 392명, 유전자재조합의약품 포럼 589명, GMP 포럼 446명, 바이오의약품 미래전략 포럼 459명, 규제과학 포럼 522명 등)


- 이번 GBC는 참여 방법을 다양화하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현장, 메타버스, 유튜브 실시간 생중계를 병행하여 진행했습니다.


□ 개회식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바이오헬스 산업은 대한민국의 핵심 산업으로 글로벌 기준에 뒤처지는 규제는 과감히 혁신하고 핵심 인재를 육성하여 우리 바이오산업이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GBC의 개최를 축하했습니다.


ㅇ 최창원 SK 디스커버리 부회장은 기조 강연 첫 연사로 나서 “스카이코비원멀티주 백신은 대한민국과 글로벌 파트너들의 협력으로 만들어진 백신”이라며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 개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혁신 기술 도입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ㅇ 백신포럼에서는 미래 신종 감염병에 대처하기 위한 규제기관의 노력을 뒤돌아보며 대응전략을 논의했고, 유전자재조합의약품포럼에서는 암의 발병과 진행에 대한 핵심 방어체계인 면역관문억제제의 개발현황과 미래 동향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 특히, 이번 GBC에 새롭게 마련된 바이오의약품 미래전략 포럼, 규제과학 포럼, 환자 중심 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 정책토론회 등에서는 바이오산업의 미래발전 방안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했습니다.


ㅇ 바이오의약품 미래전략 포럼에서는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플랫폼 기술을 소개하고,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구축 등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발전 방안을 공유했습니다.


ㅇ 규제과학 포럼에서는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한 규제과학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특히 박인숙 식약처 바이오생약심사부장이 “허가·심사에 적용되던 기존 규제과학 개념을 확장하고, 향후 산·학·연이 함께 발전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라며 규제과학 발전의 중요성을 피력했습니다.


ㅇ 환자 중심 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 정책토론회에서는 환자단체, 산업계, 학계, 정부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