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기초연구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활성화를 위한 논의 본격화
- 등록일2022-09-15
- 조회수958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9-1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학문분야별 연구인력#기초연구 역량강화
- 첨부파일
기초연구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활성화를 위한 논의 본격화
- 학문 분야별 기초연구 역량강화를 위한 연속 간담회 개최로
학문분야별 연구인력, 연구역량 분석 결과를 반영한 지원전략 논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광복, 이하 ‘연구재단’)은 기초연구사업에서 학문분야별 기초연구 역량강화를 위한 연속 간담회를 개최한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기초연구사업에 「분야별 연구지원 체계*」를 ’20년 수학분야에 시범적용 하였고, 올해부터는 기초연구 전 학문분야를 대상으로 분야별 지원체계를 확대하여 시행하고 있다.
* 학문분야별 예산을 사전 배분하고, 연구계 의견 수렴 및 분야별 특성을 반영
구 분 | 내 용 | ||||
적용대상 사업 |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 ||||
적용대상 분야 (전 분야, 총 10개) | 자연과학 | 생명과학 | 의약학 | 공학 | 정보통신기술‧ |
수학/물리학/ 화학/지구과학 | 기초‧분자생명/기반생명 | 의약학1 /의약학2 | 공학 | 정보통신기술‧융합 | |
예산 배분 | ∙최근 3년(’19∼’21년)간 전체 지원연구비 대비 해당 학문분야 지원연구비 비율 및 연구수요의 변화 적용(’22년 적용) | ||||
연구비 및 연구기간의 설정 | ∙분야별 연구계 의견 수렴, 분야 내 특성 및 중장기 포트폴리오 등을 고려하여 사업별 연구비 및 연구기간, 사업 유형 개편 등을 학계 자율적으로 제시 |
* 의약학1: 기초의학, 응용의학 / 의약학2: 간호학, 약학, 치의학, 한의학
분야별 연구지원 체계 전면 시행을 통해 분야별 특성화된 사업운영의 틀을 마련하고, 학문 분야에 따른 다양한 장기적인 연구비전 제시를 통해 기초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번에 개최하는 연속 간담회는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해 분야별 특성, 연구인력 현황, 연구역량 분석 결과 등에 대해 학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학문분야별 지원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연속 간담회는 분야별로 총 4회가 개최되며, 간담회별로 연구계(분야별 학회 관계자 등)와 과기정통부, 연구재단 학문단장 등이 참석하며, 첫 번째 간담회는 9.16일(금) 16:00에 서울 삼경교육센터 8층 회의실에서 자연과학분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구분 | 일시 | 장소 | 개최 분야 | 주요내용 |
1회차 | 9.16(금). 16:00~18:00 | 서울 삼경교육센터 | 자연과학(수학/물리학/화학) | -분야별 지원전략 발표 -기초연구 역량 강화방안 토론 |
2회차 | 9.23(금). 10:00~12:00 | 서울역 회의실 | 생명과학(기초분자생명) | |
3회차 | 9.27(화). 10:00~12:00 | 서울 스퀘어 | 의약학1(기초응용의학) | |
4회차 | 10.6(목). 14:00~16:00 | 서울역 회의실 | 공학, ICT융합 |
토론 내용 등을 종합한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고도화 전략에 대해서는 추후 「기초연구사업 추진위원회」에 보고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기초연구사업은 학문분야별 특성에 따른 지원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시켜,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체계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며,
분야별로 도출된 다양한 의견을 ”학문분야별 특성화 사업 기획“ 등 기초연구사업 지원 정책 수립에 반영하고 필요한 경우 타 국가연구 개발사업과의 연계방안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