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첨단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속도 높인다
- 등록일2023-03-22
- 조회수916
- 분류종합 > 종합, 기타 > 기타, 제품 > 바이오장비
-
발간일
2023-03-21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공모#첨단산업 분야
- 첨부파일
첨단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속도 높인다
- 소부장 특화단지 공모(3.22. ~ 4.12.) ▸ 지정 발표('23.7월경)
- 바이오, 미래차 등 첨단산업 분야로 공급망 구축 강화 추진
《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공모 개요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3월 22일(수)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추가지정 관련 공모 절차를 개시(3.22~4.12)하였다고 밝혔다.
* 소재부품장비 특별법 45조(소재부품장비산업 특화단지의 지정)
ㅇ 이번 소부장 특화단지 추가지정은 미(美)-중(中) 패권경쟁 등 전(全) 세계적인 공급망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첨단산업분야에 대한 국가 공급망 생태계를 한층 강화하고, 신속한 기술 자립화 지원을 위해 추진되었다.
ㅇ 특화단지 지정을 희망하는 ①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②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는 특화단지 육성계획서 등 관련 서류제출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제출 서류 :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 신청서(시행규칙 별지 19호 서식),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육성계획서(공고문 첨부), △관련 증빙 자료 등
□ 공모를 통해 접수된 특화단지는 법령상 지정 요건*을 중심으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생태계, 기업 투자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며
* ①소부장 산업의 집적, 경쟁력 강화 효과, ②기반시설의 확보, ③지역 주요 산업과 소부장 산업의 연계 발전 가능성, ④전문인력 확보, ⑤ 지자체 도시개발 및 산업발전과 연관성
ㅇ 관계부처 협의 및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의 심의의결 절차를 거쳐 올해 7월 중 특화단지 선정지역을 발표할 계획이다.
《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경과 및 향후 추진방향 》
□ 소부장 특화단지는 앵커(수요)기업을 중심으로 소부장 기업들을 집적하여기업 간 협력 생태계조성과 기술자립화를 위해 추진되었으며, ‘21년 2월 반도체, 이차전지 등 5개 분야 소부장특화단지가 최초지정 되었다.
* ①반도체 : 경기용인(SK하이닉스), ②이차전지 : 충북청주(LG엔솔) ③디스플레이 : 충남 천안아산(삼성DS), ④탄소소재 : 전북전주(효성첨단소재), ⑤정밀기계 : 경남창원(두산공작기계 등)
ㅇ 5개 소부장 특화단지에는 수요-공급 기업 간 공동 R&D(997억원), 테스트베드 구축(995억원), 기반시설 지원(290억원), 실증센터(2,170억원), 펀드(150억원), 전문인력 양성(48억원) 등 약 4,700억원이 지원되고 있으며
ㅇ 앵커기업 등 주요 기업 투자를 기반으로 지난 2년간 전체 특화단지 생산액(+26%), 수출액(+47%), 고용 증가(약 5천명) 등 경제적 효과 발생및 기업 집적화(+261개) 성과 등이 발생하였다.
* 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전국산업단지 현황통계 기준(‘22.4분기)
□ 산업부는 이번 소부장 특화단지 추가지정을 통해 반도체, 이차전지 등 현재 5개 특화단지 분야에서 바이오, 미래차 등 새로운 첨단산업 분야로 특화단지 추진성과를 확산해가고,
ㅇ 기(旣) 지정된 분야에 대해서도 지역 산업 경쟁력, 단지 경쟁력, 지정필요성 등을 고려해 추가지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ㅇ 산업부는 인프라투자연구 개발(R&D)사업화 등 신규 특화단지 조성을 전폭 지원하여 첨단산업육성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원소재 공급생산, 수출경쟁력 지원 등 단지별분야별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붙 임】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공고문 주요내용 요약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