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농식품부, 전세계 40개국 456개기업과 케이-푸드플러스(K-Food+) 수출 확대의 장(場) 마련!

  • 등록일2023-04-20
  • 조회수843
  • 분류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제품 > 바이오식품
  • 발간일
    2023-04-19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식품 수출#K-Food+#농식품 수출
  • 첨부파일
    • hwp (식품산업정책관-수출진흥과) 농식품부 전세계 40개국 456개기업... (다운로드 4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농식품부, 전세계 40개국 456개기업과 케이-푸드플러스(K-Food+) 수출 확대의 장(場) 마련!

- 2023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4.19~4.21)를 수출 확대 계기로 삼아

- 농식품부 장관, 농식품 수출 확대 전략 논의를 위해 「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 제2차 간담회 개최(4.19)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K-Food+ 수출 확대를 위해 전 세계 40개국 456개 해외 바이어와 국내 수출기업이 참가하는 수출 확대의 장(場)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4월 19일(수)부터 21일(금)까지 서울 양재동 에이티(aT)센터에서 ‘2023년 K-Food+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BKF, Buy Korean Food)’를 개최할 예정이다.


* 한국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해외 바이어를 초청하여 국내 농식품 수출기업과 상담 기회를 제공


* K-Food+: 한국 농식품을 뜻하는 K-Food에 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용 의약품 등 전후방산업을 더(+)해서 농식품산업과 연관산업을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미


특히, 이번 수출상담회는 우리나라 포함 총 40개국 456개 기업(136개 해외 바이어*, 320개 국내 수출기업)이 참가하여, 코로나19 시기 이후 최대 규모로 개최될 예정이다.


* 까르푸(유럽), 이온(일본), UNFI(미국), 허마셴셩(중국), 파큰샵(홍콩), 라자다(온라인) 등


농식품 분야는 아세안, 중화권, 북미, 중남미, 유럽 등 주요 시장 33개국 108개 바이어와 242개 수출기업이 참가하며, 전후방산업은 28개 바이어와 78개 수출기업이 참가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상담회 개최 전부터 해외 바이어의 관심 품목을 사전 파악하여 수출기업에게 제공하고, 기업간 온라인 사전 면담을 주선하여, 상담회 기간 중 실질적인 수출계약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상담회 마지막 날 해외 바이어에게 딸기‧토마토 등 신선농산물, 인삼류‧김치 등 가공식품의 국내 생산현장 방문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이들 품목의 수출 증가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오후 농식품부 장관은 수출상담회와 연계하여, 주요 식품기업, 스마트팜·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 기업대표, 유관기관장 등 총 22명과 함께 「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 제2차 간담회를 주재한다.


이 자리에서 기업별 수출동향 및 향후계획에 대해서 논의하고, 지난 1월 수출확대 추진본부 출범식 이후 그동안 170여개 기업과 면담, 간담회 등을 통해 발굴된 현장애로 및 건의사항에 대한 지원방안도 설명한다. 주요 내용은,


①한류를 활용한 해외 마케팅 확대 요청에 따라 ▲해외 한류 콘서트 연계 농식품 홍보 및 K-Food Fair(일본, 미국 등 7개국)를 개최하고 ▲주요 수출품목 10개*를 선정하여 드라마 등에 간접광고(PPL)를 추진할 계획이다.


* 김치, 장류, 인삼, 딸기, 포도, 배, 파프리카, 쌀가공식품, 반려동물사료, 음료 등


②국내외 물류 지원 확대 및 원료농산물의 안정적 공급 요청에 대해서는 ▲품목별 수출통합조직 육성 등 간접보조 강화, ▲농식품 수출전용 선복(5→7개)‧항공기 운영 노선(2→8개) 확대, ▲해외공동물류센터(콜드체인포함) 지원 한도 확대(기업당 최대 35→80백만원), ▲수출용 김치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국산 배추 저장‧보관료 지원(총 5억원, 기업당 최대 50백만원) 등을 지원한다.


③신규거래선 발굴을 통한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바이어 초청상담회 확대(1회→2회), ▲국제식품박람회 참가 확대(19회→24회), ▲온라인 한국식품관 확대(11개 → 15개) 및 농식품 역직구몰(5개) 운영 등을 추진한다.


④전후방산업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 ▲스마트팜 수출융자(1,000억원 규모, 기업당 최대 50억원) 신규 지원 및 스마트 농업 펀드(200억원) 조성, ▲수출펀드(200억원) 조성, ▲농기계 원자재 구입자금 규모 확대(2,000 → 3,000억원) 및 기업당 지원한도 확대(중견 500 → 600억원, 중소 50 → 60억원), ▲비료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지원(6,000억원) 대상 원료 품목 확대(9개 → 12개), ▲수출용 동물의료기기 GMP*제도 도입(농식품부령 개정, 6월 목표), ▲그린바이오 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도입(연내 법 제정 목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 의약품 등의 안전·유효성을 보장하는 관리기준


⑤아울러, 농식품과 전후방산업 수출기업의 혁신을 지원할 정책금융자금(2.2조원)*, 혁신성장펀드**(3조원, 연내 결성예정) 등의 신규 지원사업들에 대해서도 수출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다.


*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등 농식품 신산업분야에 대출 및 보증 지원(산업은행 5,500억 원, 기업은행 1,400억 원, 신용보증기금 1.5조 원)


** 농식품 신산업분야 기업에 자금투자 지원(금융위원회‧산업은행 혁신산업 펀드 1.5조 원, 성장지원 펀드 1.5조 원)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수출기업과 간담회를 마친 후 수출 상담회장을 방문하여 수출 관계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며, “이번 수출상담회를 통해 수출 유망상품을 적극 소개하고, 우리 수출기업들이 해외 시장에 좀 더 폭넓게 진출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하며, “앞으로도 정부는 K-Food+ 수출확대를 위해, 현장 애로사항을 적극 발굴·해소하는 등 지속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라고 밝힐 예정이다.


* 간담회 및 수출상담회 관련 사진은 15시 30분경 추가 배포 예정


붙임 1. 2023 상반기 K-Food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BKF) 계획

2. 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간담회(2차) 계획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