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지역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지자체와 중앙정부 간 협력체계 본격 가동
- 등록일2023-04-26
- 조회수1087
- 분류종합 > 종합, 기타 > 기타
-
발간일
2023-04-2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지역 과학기술 혁신#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
- 첨부파일
지역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지자체와 중앙정부 간 협력체계 본격 가동
- 제2회 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 개최
- 지자체가 제안한 사업을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발전시켜 예산까지 연계하는 체계 구축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 ’23년 시행계획(안)’ 및
부산‧대전‧경북의 과학기술진흥계획 및 주요사업 추진계획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4월 25일(화) 14시에 프레지던트 호텔 모차르트홀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 제2회 회의를 개최했다.
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는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협의회 중 하나로, 작년에 지자체와 관계부처 중심으로 개편하여 지자체와 관계부처 간 지역 과학기술 정책‧사업을 조정, 협의하고, 협업의제를 발굴하여 이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제2회 회의에서는 지자체도 주도적으로 안건을 제안하고,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함께 이를 발전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상정된 안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호】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 23년 시행계획(안)
제1호 안건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3년 시행계획」(안)이다. 「과학기술기본법」제8조에 따라 작년 12월 수립된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이하 ‘제6차 종합계획’)의 2023년도 이행계획과 각 지자체의 2024년도 신규사업 제안을 담고 있다.
2023년에는 총 4조 1,492억원(국비 2조 7,286억원, 지방비 1조 3,436억원, 민간 77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지역이 주도하여 정책, 사업을 지속적,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 지역과학기술혁신법 제정을 추진하고, 지역이 스스로 지역에 특화된 지역별 중장기 과학기술 혁신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에서도 국가전략기술 중 특화된 전략기술 분야를 설정하고, 이를 육성하여 지역의 산업 경쟁력 제고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2024년에 지자체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연구개발사업을 제안하고, 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를 통해 지자체와 관계부처가 함께 검토하여 예산까지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지자체가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컨설팅도 지원할 예정이다.
【제2호】부산, 대전, 경북 과학기술진흥계획 및 주요사업 추진계획
제2호 안건은 부산, 대전, 경북의 과학기술진흥계획 및 주요사업 추진계획이다. 부산, 대전, 경북은 제6차 종합계획을 기본방향으로 각 지역에 특화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계획에 따라 지역의 기술‧산업 혁신을 위한 주요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하고자 한다.
부산광역시는 ①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②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③지산학협력 기반의 인재 생태계 조성, ④지역 연구개발(R&D) 시스템 정립을 주요 전략으로 설정하였으며,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및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을 위한 핵심사업으로 그린데이터 집적단지 조성 및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대전광역시는 ①과학산업 육성, ②글로벌 과학산업 융합혁신 거점 조성, ③딥테크 창업‧사업화 생태계 구축, ④지역 과학산업 인재 양성 및 확보를 통해 과학수도 대전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전의 미래핵심 전략산업인 우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우주 바이오 산업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경상북도는 혁신적 과학기술을 통한 경북의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①디지털 대전환 프로젝트, ②과학기술 대전환 프로젝트, ③인공지능 대전환 프로젝트를 향후 5년간 역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로봇을 융합한 인공지능(AI) 서비스로봇 선도모델 구축을 핵심사업으로 제시하고 있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작년에는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지역의 자생력 회복을 위한 전략 수립에 집중하였다면, 올해부터는 전략을 구체화하여 이행함으로써 실제 지역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집중하겠다.”라고 강조하며, “특히, 지역과학기술전략회의를 통해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함께 전략을 이행하기 위한 사업을 만들어나가고, 예산까지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제2회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개최계획
2. 제1호 안건 주요 내용 (제2호 안건 비공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