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합성생물학 정책을 논의

  • 등록일2023-05-11
  • 조회수1295
  • 분류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3-05-1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경제협력개발기구#과기정통부#합성생물학
  • 첨부파일
    • hwpx 230511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합성생... (다운로드 43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기정통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합성생물학 정책을 논의

- 경제협력개발기구 바이오나노융합기술작업반 합성생물학 워크숍 계기

한국의 합성생물학 육성 정책 소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10일(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바이오나노융합기술 작업반*(BNCT) 주관으로 개최되는 합성생물학 워크숍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Committee for Science Technology Policy, CSTP) 산하 바이오, 나노, 융합 기술 거버넌스 논의를 위한 작업반(Biotechnology, Nano technology and Converging Technologies, BNCT)


해당 워크숍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신흥기술의 책임있는 개발’ 과제(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망기술의 사회·경제·과학적 영향 분석 및 사례 공유 등을 통해 책임있는 혁신을 위한 원칙을 세우고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바이오와 디지털의 융합기술로 미래 제조혁신의 핵심으로 평가받는 합성생물학이 주제로 선정되었으며 박범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책대학원 교수의 기조발언을 시작으로, 글로벌 난제 해결, 지속가능한 개발 등을 위한 합성생물학 기술의 역할과 생물안보, 안전성, 사회적 수용성과 윤리적 문제 대응, 국제협력 강화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이 ‘국가 전략’ 세션에 참여하여 한국에서 추진 중인 합성생물학 육성 정책을 소개하였다.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지난해 국가전략기술 ‘첨단바이오’ 분야의 중점기술로 ‘합성생물학’ 지정(’22.10),「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수립(’22.12), 현재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함께 예타 사업으로 추진 중인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민관협력 및 발전생태계 조성을 위한 ‘한국 합성생물학 발전협의회’ 운영(’22.7~), 그리고 ‘합성생물학 기술영향평가’ 실시(’22.12) 등 다양한 한국의 합성생물학 정책을 발표하였다.


* 인공지능·로봇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합성생물학의 연구과정을 표준화·고속화·자동화하여 생물학 실험 및 제조공정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

*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및 활용기반 구축 사업」(’24~‘28, 2,978억원), 예타조사 진행중(~‘23.8)


이번 워크숍에는 바이오나노융합기술 작업반(BNCT) 부의장을 맡고 있는 미국 국무부 소속의 캐틀린 스티븐스(Kathleen Stevens)가 미국의 ‘바이오제조 행정명령’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으며, 미 오바마 행정부 시절 백악관 과학기술정책 수석을 역임하며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National Bioeconomy Blueprint, ’12)」를 수립한 매리 맥슨(Mary Maxon)도 토론참석자(패널)로 참여했다. 이외에도 영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정부관계자 및 전문가가 각 국의 정책 공유 및 합성생물학 국제협력 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한국의 정책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과기정통부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합성생물학과 같은 신흥기술이 기술패권 경쟁의 주요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과학기술 정책의 국제적 공조와 협력이 어느 때보다 더 필요하다”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의 올바른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국제적 연대를 강화해 가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